34번째 줄: |
34번째 줄: |
| 1459년(세조5년) 세조의 왕비 정희왕후의 내향인 원평도호부를 [[파주목|파주목]]으로 승격시키면서 처음 파주(坡州)라는 지명이 만들어 졌다. 1895년(고종32년) 부군제로 개편되면서 [[파주군|파주군]]이 되었고 인구 15만명 이상의 기준으로 1996.3.1일 [[파주시|파주시]]로 승격됐다. | | 1459년(세조5년) 세조의 왕비 정희왕후의 내향인 원평도호부를 [[파주목|파주목]]으로 승격시키면서 처음 파주(坡州)라는 지명이 만들어 졌다. 1895년(고종32년) 부군제로 개편되면서 [[파주군|파주군]]이 되었고 인구 15만명 이상의 기준으로 1996.3.1일 [[파주시|파주시]]로 승격됐다. |
| | | |
− | ==파주목== | + | ===파주목=== |
| 1459년 파주지역의 원평도호부가 파주목으로 승격되면서 현재 파주읍 중심으로 교하, 파평지역이 파주라는지명으로 자리잡게 됐다. | | 1459년 파주지역의 원평도호부가 파주목으로 승격되면서 현재 파주읍 중심으로 교하, 파평지역이 파주라는지명으로 자리잡게 됐다. |
| | | |
| 파주목은 모두 12면(面)에 131개 리(里)의 행정구역을 갖추었다. 행정 관아는 주내면(州內面, 현 파주리) 지역이다. 당시 파주목의 행정 관할 구역은 오늘날의 파주읍, 문산읍, 법원읍, 조리읍, 광탄면, 월롱면, 파평면 지역을 포괄했다. | | 파주목은 모두 12면(面)에 131개 리(里)의 행정구역을 갖추었다. 행정 관아는 주내면(州內面, 현 파주리) 지역이다. 당시 파주목의 행정 관할 구역은 오늘날의 파주읍, 문산읍, 법원읍, 조리읍, 광탄면, 월롱면, 파평면 지역을 포괄했다. |
| | | |
− | ==파주군== | + | ===파주군=== |
| 1895. 6. 23일 제2차 갑오개혁의 일환으로 진행된 행정구역 개편으로 전국을 | | 1895. 6. 23일 제2차 갑오개혁의 일환으로 진행된 행정구역 개편으로 전국을 |
− | 23부(府) 337군(郡)으로 분할하면서 파주목은 파주군이 됐다. 이때 파주군은 한성, 파주, 교하, 적성, 고양, 양주, 포천, 영평, 가평, 연천, 광주(廣州)와 함께 한성부(漢城府) 관할이었고 장단군은 개성부 관할이다. | + | 23부(府) 337군(郡)으로 분할하면서 파주목은 [[파주군|파주군]]이 됐다. 이때 파주군은 한성, 파주, 교하, 적성, 고양, 양주, 포천, 영평, 가평, 연천, 광주(廣州)와 함께 한성부(漢城府) 관할이었고 장단군은 개성부 관할이다. |
| | | |
| 1914년 대대적인 행정구역 통폐합이 이루어지면서 적성군이 연천군에 흡수되었고 교하군 전역이 파주군에 폐합되었으며 양주군, 고양군, 적성군의 일부가 파주군에 편입됐다. | | 1914년 대대적인 행정구역 통폐합이 이루어지면서 적성군이 연천군에 흡수되었고 교하군 전역이 파주군에 폐합되었으며 양주군, 고양군, 적성군의 일부가 파주군에 편입됐다. |
52번째 줄: |
52번째 줄: |
| 1980년에 주내면이 읍으로 승격되었고 1983년 다시 주내읍이 파주읍으로 이름을 바꾸었으며 1989년에는 천현면이 법원읍으로 승격됐다. | | 1980년에 주내면이 읍으로 승격되었고 1983년 다시 주내읍이 파주읍으로 이름을 바꾸었으며 1989년에는 천현면이 법원읍으로 승격됐다. |
| | | |
− | ==파주시== | + | ===파주시=== |
| 파주목에서 파주군으로 개편되고 100여년이 지난 후 지방자치법 제7조의 규정에 따라 군 전체의 인구가 15만 이상이 되고 금촌읍, 문산읍이 각각 2만 이상의 인구가 충족되면서 1996.3.1일 도농복합시인 [[파주시|파주시]]로 승격됐다. 승격되면서 금촌읍을 폐지하고 금촌1동과 금촌2동을 신설하면서 3읍 11면 2행정동의 체제가 만들어 졌다. | | 파주목에서 파주군으로 개편되고 100여년이 지난 후 지방자치법 제7조의 규정에 따라 군 전체의 인구가 15만 이상이 되고 금촌읍, 문산읍이 각각 2만 이상의 인구가 충족되면서 1996.3.1일 도농복합시인 [[파주시|파주시]]로 승격됐다. 승격되면서 금촌읍을 폐지하고 금촌1동과 금촌2동을 신설하면서 3읍 11면 2행정동의 체제가 만들어 졌다. |
| | | |
58번째 줄: |
58번째 줄: |
| | | |
| 교하와 운정의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2023.1.1일자로 기존의 교하동을 교하동, 운정5동,운정6동으로 분할하고 운정1·3동을 운정1·2·3동으로 행정구역을 [[교하동·운정동_행정구역_개편|개편]]했다.이에 따라 파주시는 2023.1.1일 현재 4읍9면10동 446통리가 됐다. | | 교하와 운정의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2023.1.1일자로 기존의 교하동을 교하동, 운정5동,운정6동으로 분할하고 운정1·3동을 운정1·2·3동으로 행정구역을 [[교하동·운정동_행정구역_개편|개편]]했다.이에 따라 파주시는 2023.1.1일 현재 4읍9면10동 446통리가 됐다. |
| + | |
| + | ==지명 유래== |
| + | 파주(坡州)의 '파(坡)'는 언덕이라는 한자이다. '주(州)' 조선시대 큰마을을 부르는 명칭이다. |
| + | 이중 '파(坡)'는 지금의 파평면의 금파리와 장파리로 이어지는 장마루 언덕 모양때문에 불려진 것으로 보고 있다. |
| + | |
| + | 또한 '파주'의 어원은 언덕과 평지가 골고루 섞인 지형이라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한다. |
| + | 그 예로 파주 지역에는 오래전부터 ‘언덕 파(坡)’가 붙는 지명은 ‘마루’(언덕이라는 뜻)라 하여, 장파리는 장마루, 금파리는 금마루 또는 쇠마루로 불렀고, 동파리는 해마루로 불렸다고 한다. <ref>파주 인문학 산책, 최종환 前 파주시장</ref> |
| + | |
|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서 '파평'은 파주의 본산인 파평산(坡平山)과 영평산(鈴平山)에서 나온 것이라고 주장한다.<ref>1995년 이혜은 집필</ref> |
| | | |
| ==관련 정보== | | ==관련 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