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번째 줄:
25번째 줄:
==조업 시기와 어획량==
==조업 시기와 어획량==
황복은 주로 철쭉이 피는 4~5월에 주로 잡히고 5월 20일경이 최적기이다. 2000년도에는 연간 100여톤 정도, 2010년도에는 50여톤 정도이던 어획량이 2016년부터는 10톤 미만으로 줄어들었다고한다. 최근에는 임진강 전체에서 어획량이 1톤도 되지 않는다고 한다.
황복은 주로 철쭉이 피는 4~5월에 주로 잡히고 5월 20일경이 최적기이다. 2000년도에는 연간 100여톤 정도, 2010년도에는 50여톤 정도이던 어획량이 2016년부터는 10톤 미만으로 줄어들었다고한다. 최근에는 임진강 전체에서 어획량이 1톤도 되지 않는다고 한다.
+
+
==여론 여담==
+
===현장 발언===
+
2023년에는 2022년보다 어획량이 많이 늘어 났다.황복은 치어 방류후 3~4년 바다에서 성장하여 임진강으로 회유하는 것을 감안하면 당시 적정한 시기에 방류된 것으로 보고있다.
+
+
2022년에는 어획량이 부족하여 kg당 20만원 정도 판매되었지만 2023년에는 15만원~20만원 정도의 가격이 형성되어 있다. –이승찬 (임진강집, 031-952-3423)2023.6.3.
+
==관련 정보==
==관련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