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번째 줄: |
3번째 줄: |
| | | |
| ==개요== | | ==개요== |
− | 보광사에 있는 동종은 1634년(인조 12) 7월 승려장인 설봉자(雪峯子)가 청동 300근으로 만들었다. 이 동종은 '파주 보광사 숭정칠년명 동종'으로 1995.8.7일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58호로 지정되었다가 보물로 지정을 추진하면서 '파주 보광사 동종'으로 변경됐다. | + | 보광사에 있는 동종은 1634년(인조 12) 7월 승려장인 설봉 천보(雪峯 天寶)가 청동 300근으로 만들었다. 이 동종은 '파주 보광사 숭정칠년명 동종'으로 1995.8.7일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58호로 지정되었다가 보물로 지정을 추진하면서 '파주 보광사 동종'으로 변경됐다. |
| | | |
| ==특징== | | ==특징== |
| [[File:보광사범종각.jpg|300px|섬네일|범종각 범종, 사진 보광사]] | | [[File:보광사범종각.jpg|300px|섬네일|범종각 범종, 사진 보광사]] |
− | '파주 보광사 동종'은 종뉴(종을 매다는 고리)에 표현된 역동적인 두 용의 모습, 종 표면의 구름과 용·보살, 파도 등 각종 문양은 생동감과 장식성이 뛰어나 17세기 동종을 대표할 뿐 아니라 조선시대 종 전체로 볼 때도 매우 우수하다. | + | '파주 보광사 동종'은 높이 94.9㎝로 종뉴(종을 매다는 고리)에 표현된 역동적인 두 용의 모습, 종 표면의 구름과 용·보살, 파도 등 각종 문양은 생동감과 장식성이 뛰어나 17세기 동종을 대표할 뿐 아니라 조선시대 종 전체로 볼 때도 매우 우수하다. |
| | | |
| 하단에는 반듯한 해서체로 적은 주성기가 보이는데 이를 통해 동종의 제작연대와 목적, 봉안 지역과 사찰, 발원자와 후원자, 장인과 재료 등 중요하고 다양한 내력이 분명하게 확인되어 사료적・학술적 가치가 크다. | | 하단에는 반듯한 해서체로 적은 주성기가 보이는데 이를 통해 동종의 제작연대와 목적, 봉안 지역과 사찰, 발원자와 후원자, 장인과 재료 등 중요하고 다양한 내력이 분명하게 확인되어 사료적・학술적 가치가 크다. |
19번째 줄: |
19번째 줄: |
| 경기도 유형문화재 ‘파주 보광사 동종’이 2023.6. 27일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됐다. 보광사 동종은 30일간 예고 기간을 거친 뒤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될 예정이다. | | 경기도 유형문화재 ‘파주 보광사 동종’이 2023.6. 27일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됐다. 보광사 동종은 30일간 예고 기간을 거친 뒤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될 예정이다. |
| | | |
− | ‘파주 보광사 동종’은 설봉자의 마지막 작품으로 조선 전기에서 후기로의 과도기적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공예사적으로 의미가 있으며, 조선 후기 동종 제작기법 연구에 있어서도 중요한 자료다. 또한 원 봉안처를 떠나 옮겨지는 일이 많은 다른 동종들과 달리 최초 봉안처에서 온전히 그 기능을 수행하며 잘 보전되어 온 점에서 그 역사성도 인정될 수 있어 보물로 지정할 가치가 충분하다고 평가되었다.<ref>파주시 보도자료 2023.7.4. 문화예술과</ref> | + | ‘파주 보광사 동종’은 설봉 천보(雪峯 天寶)의 마지막 작품으로 조선 전기에서 후기로의 과도기적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공예사적으로 의미가 있으며, 조선 후기 동종 제작기법 연구에 있어서도 중요한 자료다. 또한 원 봉안처를 떠나 옮겨지는 일이 많은 다른 동종들과 달리 최초 봉안처에서 온전히 그 기능을 수행하며 잘 보전되어 온 점에서 그 역사성도 인정될 수 있어 보물로 지정할 가치가 충분하다고 평가되었다.<ref>파주시 보도자료 2023.7.4. 문화예술과</ref> |
− | | |
− | ==여론 여담==
| |
− | ===범종 제작자 논란===
| |
− | 파주시는 2023.7.4일 보도자료를 통해 보광사 범종의 보물지정을 예고하면서 범종은 승려 장인인 천보(天寶)가 청동 300근을 들여 1634년(인조 12) 7월에 제작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보광사는 명문기록에 천보와 함께 상륜(尙倫), 경립(敬立) 등에 의해 조성됐고 미지산(彌智山) 설봉자(雪峯子)가 희령(喜岺), 경립(敬立)과 함께 제작했다고 홈페이지에 게시했다.<ref>보광사 홈페이지 숭정칠년명동종(崇禎七年銘銅鐘), http://www.bokwangsa.net/bogwang/cultural</ref>--paki 2023년 7월 4일 (화) 11:24 (KST)
| |
− | | |
− | [https://tour.paju.go.kr/user/tour/place/BD_tourPlaceInfoView.do?q_gubunCode=1001&menuCode=59&cntntsSn=36 파주시 홈페이지 역사관광] 안내에서도 명문(銘文)에 설봉자가 제작했다고 설명했고 위키백과 등 대부분 설봉자가 제작자로 나타난다. 다만 문화재청에서는 설봉자가 당시 승려 장인 집단을 이끌던 천보스님으로 추정된다고 했다.<ref>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s_kdcd=&s_ctcd=31&ccbaKdcd=21&ccbaAsno=01580000&ccbaCtcd=31&ccbaCpno=2113101580000&ccbaLcto=37&culPageNo=2&header=region&pageNo=1_1_3_0&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RegionList.do&assetnamel=</ref>paki 2023년 7월 5일 (수) 10:02 (KST)
| |
| | | |
| ==관련 정보== | | ==관련 정보== |
| ===링크 모음=== | | ===링크 모음=== |
| + | *[https://www.cha.go.kr/cop/bbs/selectBoardArticle.do?nttId=86095&bbsId=BBSMSTR_1019&mn=NS_03_03_04 문화재청 2023년도 보물지정 관련 자료] |
| | | |
| '''주변 명소''' | | '''주변 명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