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700년대 제작된 지도나 문헌에 나타나는 일미도는 일관되게 '일미도'로 표기되어 있지만 1724년에 제작된 팔도군현지도(八道郡縣地圖)는 '해암 蟹岩)으로 되어 있다. 해암으로 표기된 것은 임진강 건너 북한의 풍덕에 있던 해암이라는 지명을 오기한 것으로 보고 있다.<ref> 규장각 원문검색서비스 고지도편 https://kyudb.snu.ac.kr/book/text.do?mid=GZD&&book_cate=GZD01&book_cd=GR33535_00&focus=d1sd13 </ref> | + | 1700년대 제작된 지도나 문헌에는 일관되게 '일미도'로 표기되어 있지만 1724년에 제작된 팔도군현지도(八道郡縣地圖)는 '해암 蟹岩)으로 되어 있다. 해암으로 표기된 것은 임진강 건너 북한의 풍덕에 있던 해암이라는 지명을 오기한 것으로 보고 있다.<ref> 규장각 원문검색서비스 고지도편 https://kyudb.snu.ac.kr/book/text.do?mid=GZD&&book_cate=GZD01&book_cd=GR33535_00&focus=d1sd13 </ref> |
− | 일미(一眉)는 한자로 하나 일(一)과 눈썹 미(眉)자를 쓰고 있다. 이 섬은 임진강과 한강이 만나는 하류 구역으로 강폭이 가장 넓은 곳은 3km 정도이다. 섬에 나무가 없어 강변에서 섬을 보면 눈섭 모양의 수평선으로 보여져 일미도가 된 것으로 추정된다. | + | 일미(一眉)는 한자로 하나 일(一)과 눈썹 미(眉)자를 쓰고 있다. 이 섬은 임진강과 한강이 만나는 하류 구역으로 강폭이 가장 넓은 곳은 3km 정도이다. 섬에 나무가 없어 강변에서 일미도를 보면 눈섭 모양의 수평선으로 보여져 이름이 만들어 것으로 추정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