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paki.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수목원·정원의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에 따라 등록을 추진하는 정원이다, [[File:pk임진강변.JPG|400px|섬네일|임진강 주변, 구글어스]] ==개요== 정원은 지역의 생태적, 문화적 특성을 살린 공간으로 조성되며, 주민들의 여가 및 휴식 공간으로 활용되며 국가 및 지방정원으로 구분된다. 정원으로 등록되기 위해서는 일정 면적과 녹지율, 시설 기준 등을 충족해야하며 우선 지방정원을 일정 기간 운영 후 그 가치와 중요성이 인정되면 국가정원으로 승격될 수 있다. ==사업 추진== ===추진 계획 수립=== 김경일 파주시장은 2025년 신년 브리핑에서 민생회복과 미래도약을 중심으로 시정방향을 설정했다. 3대 시정목표로 대한민국 기본사회 선도도시 건설, 100만 자족도시 신속 진입, 수도권 문화․생태 휴양 메카 건설을 발표했다. 파주시는 임진강을 지방정원화하여 '국가정원'으로 승격시키고, 공릉천 일대를 지방생태 정원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환경보전과 여가가 공존하는 생태도시 체계를 구축하게 된다. '국가정원' 지정을 위해서는 최소 30만㎡의 면적과 녹지율 40% 이상을 갖추어야 한다. 파주시는 「임진강 국가정원 프로젝트」 추진을 위해 2025년 타당성 검토와 대상지 선정을 시작으로, 2026년에는 기본계획을 수립한다. 2027년에는 조성계획 승인 및 사업인정 고시를 진행하고, 2028년에 기본 및 실시설계를 완료한다. 2029년부터 2030년까지 토지를 매입하고, 2031년부터 2033년까지 지방정원을 조성한다. 이후 2034년부터 2036년까지 지방정원 등록을 거쳐 2037년에 국가정원으로 등록할 계획이다. ===타당성 검토 용역 착수 보고회 개최=== 파주시는 2025년 시정목표인 '수도권 문화·생태휴양 메카 건설'의 핵심 과제로 추진 중인 임진강 지방정원 타당성 검토용역 착수보고회를 2025.4.4일 개최했다. 이번 보고회에는 김경일 파주시장, 손형배 파주시의회 의원, 최병갑 파주시 부시장, 파주시 관련 실·국·본부장과 용역 수행기관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임진강 지방정원 추진의 필요성과 가능성, 추진 방향 등을 논의했다. 파주시는 이번 용역을 통해 올해 말까지 임진강을 중심으로 최적의 정원 조성 대상지를 선정하고, 기본구상을 수립할 계획이다. 국가정원은 지방정원 조성 후 3년간의 운영 실적을 평가하여 산림청에서 지정하고 관리비를 지원하는 정원이다. 현재는 순천만 국가정원과 울산 태화강 국가정원 2곳이 지정되어 있다.<ref>파주시 보도자료 2025.4.9. 산림정원과 </ref> --paki 2025년 4월 9일 (수) 14:02 (KST) ==관련 정보== ===링크 모음=== '''가볼만한곳''' <br> ---- '''더보기''' <br> ---- <categorytree mode="pages" >명소</categorytree > <br> [[분류:명소]] [[분류:문산]] {{노출틀|임진강 정원 |지방정원, 국가정원, 임진강, 정원 |임진강 정원}}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노출틀 (원본 보기) 임진강 정원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