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번째 줄:
1번째 줄:
−
파주시는 1459년(세조5년) [[파주목|'파주목']]이 되면서 처음 지명이 만들어졌고 현재 파주읍 파주리에 관아가 있었다. 경의선이 개통되자 일제는 파주리의 군청을 문산으로 이전했고 한국전쟁시 금촌으로 피난 왔다가 현재 위치에 남아 있게 됐다.
+
파주시는 1459년(세조5년) [[파주목|'파주목']]이 되면서 처음 지명이 만들어졌고 현재 파주읍 파주리에 관아가 있었다. 일제는 군용임시철도인 경의선을 부설하면서 파주리의 군청을 문산으로 이전했고 한국전쟁시 금촌으로 피난 왔다가 현재 위치에 남아 있게 됐다.
[[File:city_ch.jpg|400px|섬네일|일제시대의 파주군청]]
[[File:city_ch.jpg|400px|섬네일|일제시대의 파주군청]]
21번째 줄:
21번째 줄:
[[File:p011258_1960년대_파주군청_전경a.jpg|400px|섬네일|1960년대 파주군청]]
[[File:p011258_1960년대_파주군청_전경a.jpg|400px|섬네일|1960년대 파주군청]]
+
===일제시대 군청 이전===
+
조선총독부가 1914.3.1일자로 행정관할구역을 통폐합하면서 1913년 관할 구역의 의견을 사전 조사했다. 이 당시 파주군과 교하군 통폐합때 명칭을 '파교군'으로 개칭할 계획이었으며 기존 파주군청은 문산정거장에서 동남쪽 방향 4백여m 위치에 있었던 것으로 나타난다.
+
+
====이전 보고 내용====
+
1913.11.19일 조선총독부에 보고한 문서에는 기존 파주군청을 문산포 주변으로 이전하고 파주군(坡州郡)과 교하군(交河郡)을 양군의 머리글을 따서 '파교군(坡交郡)'이라고 개칭해야 한다고 나타났다.
+
+
통합에 따른 군청사 소재지와 건물에 대하여는 기존 군청을 정거장에서 3정 거리(100여m)에 있는 칠정면(七井面) 문산포(汶山浦)로 이전하는 것으로 기록됐다.
+
+
군청이 이전할 문산포는 문산역과 문산 시장이 있어 물자의 집산지이고 우편국, 순사부장 주재소, 금융조합, 학교조합, 일본인 소학교, 사립학교, 철도정거장이 있어 점차 번영할 할 수 있다고 했다. <ref>부군폐합에 관한 건 (467호)-1913.11.19/경기도장관 -> 조선총독</ref>
+
+
1913.9.18일 조선총독부 문서에 따르면 파주군청이 이전할 장소로 문산소학교로 정하고기존의 20여명의 학생은 옛 동 소학교 건물에 수용하는 것으로 보고했다. 또 문산소학교는 18평으로 문산정거장과 5~6정(200여m) 거리에 있다고 했다. 이전할 소학교에는 교원주택과 부속건물에 사무실과 숙직실, 소사실로 이용할 수 있어 임시청사로 완벽하다는 내용을 포함했다.<ref>군청사 이전에 관한 건(746호)-경기도 1913.9.18/ 경기도장관->조선총독</ref>
+
+
기존 군청은 정거장에서 1리 거리(400여m) 동남쪽에 위치하여 교통이 불편하고 우편소와 순사주재소만 있는 산간벽지라고 했다. 기존 군청의 동남쪽 4백여m 위치는 현재 통일공원 부근의 마을로 추정된다.
+
{{인용문
+
|내용 = 파주군 청사는 문산학교조합(汶山學校組合)이 이전에 신축했던 문산소학교 건물을 사용할 수 있고, 이 소학교의 학생은 20명에 불과하므로 현재 민간에서 사용하고 있는 옛 동 소학교(同小學校) 건물에 수용하는 방법이 있을 듯 하다.
+
+
지금 신축한 교사의 모습을 시찰해보니, 이 곳은 문산정거장에서 겨우 5~6정(丁) 떨어져 있고, 문산리 내의 중앙의 높고 마른 땅에 위치하여, 지세 상 가장 적당한 장소이다.
+
+
그리고 이 학교의 평수는 18평으로, 또한 교원주택(敎員住宅)인 부속건물이 있기 때문에 본 건물은 이를 사무실로 쓰고, 교원주택은 이를 숙직실(宿直室), 소사실(小使室) 등으로 충용할 수 있으므로, 임시청사로서는 완전하다고 인정된다.
+
+
|출처 = 군청사 이전에 따른 경기도장관의 조선총독부 보고내용, 1913.9.18,자료위치:내고향 역사알기
+
}}
+
==한국전쟁 후 청사 이전==
1950년 6.25 전쟁이 발발하고 1951년 7월부터 정전협상이 시작되었지만 부분적인 교전은 계속되었다. 작전 지역이었던 임진강 주변인 문산(당시 임진면)은 1953년 7월 27일 휴전협정이 조인되기까지 민간인 출입이 제한됐다.
1950년 6.25 전쟁이 발발하고 1951년 7월부터 정전협상이 시작되었지만 부분적인 교전은 계속되었다. 작전 지역이었던 임진강 주변인 문산(당시 임진면)은 1953년 7월 27일 휴전협정이 조인되기까지 민간인 출입이 제한됐다.
29번째 줄:
52번째 줄:
마무리골(馬戊洞)은 한자로 마무(馬戊·馬茂·馬武) 등 여러 가지로 표기된다. 조선조 1502년(연산군 10)까지 군마훈련장으로 사용하였던 곳이라 하여 마무리라고 전해 내려온다.
마무리골(馬戊洞)은 한자로 마무(馬戊·馬茂·馬武) 등 여러 가지로 표기된다. 조선조 1502년(연산군 10)까지 군마훈련장으로 사용하였던 곳이라 하여 마무리라고 전해 내려온다.
−
== 청사 신축 및 확장 ==
+
==현재 청사 신축 및 확장 ==
현재 청사는 1950년대에 사용하던 청사를 철거하고 1976.6.22일에 본관을 신축했다. 처음 신축된 본관은 2층으로 지어졌다가 1980년대에 1개 층을 증축하여 현재처럼 3층이 됐다.
현재 청사는 1950년대에 사용하던 청사를 철거하고 1976.6.22일에 본관을 신축했다. 처음 신축된 본관은 2층으로 지어졌다가 1980년대에 1개 층을 증축하여 현재처럼 3층이 됐다.
51번째 줄:
74번째 줄:
2017년도 기존 청사의 면적이 자치단체 청사 면적기준에 34% 정도 부족한 실정이었다. 파주시는 부족한 청사 공간 확보를 위해 기존 종합민원실 옆으로 1,000㎡정도 부지에 2층 규모로 2017년 3월 증축했다. 2018년 1월에 준공하여 복지동으로 명명하고 복지와 인허가 관련부서를 배치했다. 증축과 관련해 토지매입과 건축물 공사에 50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됐다.
2017년도 기존 청사의 면적이 자치단체 청사 면적기준에 34% 정도 부족한 실정이었다. 파주시는 부족한 청사 공간 확보를 위해 기존 종합민원실 옆으로 1,000㎡정도 부지에 2층 규모로 2017년 3월 증축했다. 2018년 1월에 준공하여 복지동으로 명명하고 복지와 인허가 관련부서를 배치했다. 증축과 관련해 토지매입과 건축물 공사에 50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됐다.
−
== 공개 일화 ==
+
==파주시 청사 이전==
+
2022.6.1일 지방선거에 출마한 현 김경일 파주시장이 현 청사를 금촌C3 블록으로 이전한다는 공약을 발표하면서 [[파주시청 이전|파주시청 이전]]이 추진되고 있다.
+
+
==여론 여담==
===파주시청의 풍수===
===파주시청의 풍수===
파주시청은 동쪽에 있는 학령산을 배산으로 하고, 금촌동을 휘감아 도는 금릉천을 임수하고 있으며, 안산은 교하동 서쪽에 있는 장명산을 취하고 있다.
파주시청은 동쪽에 있는 학령산을 배산으로 하고, 금촌동을 휘감아 도는 금릉천을 임수하고 있으며, 안산은 교하동 서쪽에 있는 장명산을 취하고 있다.
62번째 줄:
88번째 줄:
6.25 전쟁이 끝나고 금촌의원을 개원한 김주일 원장은 '금촌 기록화 사업' 인터뷰에서 1956년에 파주군청 강당에서 결혼식을 했다고 말했다.
6.25 전쟁이 끝나고 금촌의원을 개원한 김주일 원장은 '금촌 기록화 사업' 인터뷰에서 1956년에 파주군청 강당에서 결혼식을 했다고 말했다.
−
당시 군청 강당은 행정적인 업무만 할 수 있는 곳이다. 그 당시 이유는 알 수 없지만 파주군 내무과장이 경기도청에 결혼식 사용허가를 받았다고 한다.<2017, 파주 금촌마을의 회상과 기록>
+
당시 군청 강당은 행정적인 업무만 할 수 있는 곳이다. 그 당시 이유는 알 수 없지만 파주군 내무과장이 경기도청에 결혼식 사용허가를 받았다고 한다.<ref>2017, 파주 금촌마을의 회상과 기록</ref>
−
−
==파주시 청사 이전==
−
2022.6.1일 지방선거에 출마한 김경일 파주시장이 현 청사를 금촌C3 블록으로 이전한다는 공약을 발표하면서 [[파주시청 이전|파주시청 이전]]이 추진되고 있다.
==관련 정보==
==관련 정보==
75번째 줄:
98번째 줄:
----
----
'''더보기'''
'''더보기'''
−
*키워드: 군청, 시청, 청사, 이전, 건물,역사
+
<categorytree mode="pages" >공공시설</categorytree >
<categorytree mode="pages" >공공시설</categorytree >
<br>
<br>
82번째 줄:
105번째 줄:
[[분류:공공시설]]
[[분류:공공시설]]
+
[[분류:지역사]]
[[분류:금촌]]
[[분류:금촌]]
[[분류:문산]]
[[분류:문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