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번째 줄:
5번째 줄:
파주군은 부군제로 개편되면서 지금의 서울인 한성부 관할로 되었다가 1896.8.4일 경기도 관할로 변경됐다.
파주군은 부군제로 개편되면서 지금의 서울인 한성부 관할로 되었다가 1896.8.4일 경기도 관할로 변경됐다.
−
1914년 교하군이었던 금촌과 교하, 탄현 지역이 파주군으로 편입되면서 파주군의 기본체제가 만들어졌다.
+
1914년 교하군이었던 금촌과 교하, 탄현 지역과 1945년 38선 이남의 적성 주변 지역이 파주군에 편입되면서 파주군 기본체제가 만들어지고 1996.3.1일 [[파주시|파주시]]로 승격됐다.
==연혁==
==연혁==
22번째 줄:
22번째 줄:
* 1989. 4. 1일 천현면을 법원읍으로 승격하였다. (4읍 11면)
* 1989. 4. 1일 천현면을 법원읍으로 승격하였다. (4읍 11면)
* 1996. 3. 1일 파주군 일원이 파주시로 승격되고, 금촌읍이 폐지되고 금촌1,2동으로 분동됐다. (3읍 11면 2행정동)
* 1996. 3. 1일 파주군 일원이 파주시로 승격되고, 금촌읍이 폐지되고 금촌1,2동으로 분동됐다. (3읍 11면 2행정동)
−
* 2002. 4. 1일. 교하면이 교하읍, 조리면이 조리읍으로 승격(5읍 9면 2동)
−
* 2011. 5. 1일. 군내출장소를 장단출장소로 명칭 변경
−
* 2011. 7. 25일. 교하읍이 교하동,운정1,2,3동으로 분동,금촌3동신설
−
* 2021. 7. 1일 장단출장소를 장단면행정복지센터로 명칭 변경
==행정구역명 변천==
==행정구역명 변천==
125번째 줄:
121번째 줄:
==역대 군수==
==역대 군수==
−
일본 식민지에서 해방된 1945년을 기준으로 정리된 역대 시장 명단이다.<ref>파주시홈페이지 역대시장군수 명단</ref>
+
일본 식민지에서 해방된 1945년을 기준으로 정리된 역대 군수 명단이다.<ref>파주시홈페이지 역대시장군수 명단</ref>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style="font-weight:bold;"
|- style="font-weight:bold;"
316번째 줄:
312번째 줄:
==파주군청==
==파주군청==
+
1459년 원평도호부가 '파주목'으로 승격되면서 현 문산읍 선유리 73-1번지(문산동초등학교)에 있던 관아를 현 파주읍 파주리(파주초등학교) 로 이전했다 <ref>파주시의 연혁 26쪽</ref>
+
+
파주리에 위치하던 파주목은 1895년 부군제로 개편되면서 '파주군'이 되었고 경의선 개통과 함께 문산역이 개설되자 조선총독부는 1913년 현 문산읍 문산리 73-1번지로 이전 시겼다.<ref>한국전쟁 이전 파주군 부지에 설치된 표지석에는 1904년에 문산으로 이전됐다고 기록됐다.</ref>
+
+
한국전쟁 휴전협정이 지연되면서 문산지역이 수복이 늦어지자 금촌에 있는 일본인 전용 금촌심상소학교를 군청사로 운영했다. 휴전협정이 체결되자 미군의 지원을 받아 현재 시청로 50번지(당시 아동리 215)에 청사를 신축하면서 군청이 자리잡게 됐다. [[파주시청/청사_역사#.ED.8C.8C.EC.A3.BC.EA.B5.B0.EC.B2.AD_.EC.9D.B4.EC.A0.84|청사 역사 자세히 보기]]
==관련 정보==
==관련 정보==
332번째 줄:
333번째 줄:
[[분류:지역일반]]
[[분류:지역일반]]
−
[[분류:역사]]
+
[[분류:지역사]]
{{노출틀|파주군 개괄 |파주, 군청, 파주군, 승격 |파주군 개괄}}
{{노출틀|파주군 개괄 |파주, 군청, 파주군, 승격 |파주군 개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