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번째 줄:
1번째 줄:
−
조리읍 마을공동체협의회가 추진한 봉일천 지역의 근대문화 유산 발굴 프로젝트로 '봉일천 숨길'이라고도 한다.
+
조리읍 마을공동체협의회가 추진한 봉일천 지역의 근대문화 유산 발굴 프로젝트로 '봉일천 숨길'프로젝트라고도 한다.
[[File:봉일천에드워즈입구.jpg|400px|섬네일|에드워즈입구]]
[[File:봉일천에드워즈입구.jpg|400px|섬네일|에드워즈입구]]
85번째 줄:
85번째 줄:
나를 위해 세워주는 트럭은 하나도 없고
나를 위해 세워주는 트럭은 하나도 없고
걸어서 파주땅에 오늘밤을 자야하나 평양을 가야 한다
걸어서 파주땅에 오늘밤을 자야하나 평양을 가야 한다
−
봉일천 주막에 해가 지는데 … (1950.10월 파주군 조리읍에서)
+
봉일천 주막에 해가 지는데 … (1950.10월 파주군 조리에서)
</poem>
</poem>
===봉일천 시장===
===봉일천 시장===
+
[[File:봉일천공릉장.jpg|400px|섬네일|봉일천 공릉장터]]
공릉장은 '만기요람'에 광주의 사평장·송파장, 안성의 읍내장과 함께 경기도 4대 장터로 알려져 있다. 공릉장은 현재 봉일천 지역의 장터로 조정의 주도 하에 개설된 장터이다.
공릉장은 '만기요람'에 광주의 사평장·송파장, 안성의 읍내장과 함께 경기도 4대 장터로 알려져 있다. 공릉장은 현재 봉일천 지역의 장터로 조정의 주도 하에 개설된 장터이다.
‘영조가 공릉·순릉·영릉 삼릉을 행행하면서 입구가 공허해 동구 밖에 장시를 개설해 능침의 공허한 곳을 방어하게 하고, 그 장세를 취해 장민의 민생을 지원했다(승정원일기, 고종 32년 윤 5월 을사)’고 기록돼있다.
‘영조가 공릉·순릉·영릉 삼릉을 행행하면서 입구가 공허해 동구 밖에 장시를 개설해 능침의 공허한 곳을 방어하게 하고, 그 장세를 취해 장민의 민생을 지원했다(승정원일기, 고종 32년 윤 5월 을사)’고 기록돼있다.
95번째 줄:
96번째 줄:
==관련 정보==
==관련 정보==
===링크 모음===
===링크 모음===
+
*[[근대문화_거리축제|근대문화,역사문화, |봉일천 근대문화 거리축제]]
+
'''주변 명소'''
'''주변 명소'''
110번째 줄:
113번째 줄:
[[분류:지역사]]
[[분류:지역사]]
[[분류:조리]]
[[분류:조리]]
−
{{노출틀|봉일천 근대문화마을 | 봉일천, 유적, 문화, 마을, 근대,숨길 |봉일천 근대문화마을}}
+
{{노출틀|봉일천 근대문화마을 | 봉일천, 유적, 문화, 마을, 근대문화마을, 숨길 |봉일천 근대문화마을}}
+
+
*조리읍주민자치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