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1,419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2월 6일 (화) 23:02
잔글
1번째 줄: 1번째 줄: −
1963년 서울 망우리와 남양주 내곡리의 서울시립묘지가 만장이 되자 광탄과 조리 경계의 명봉산 동편 용미리에 서울시립 공동묘지를 처음 조성했다.  
+
1963년 서울 망우리와 남양주 내곡리의 서울시립묘지가 만장이 되자 서울시는 광탄과 조리 경계의 명봉산 동편 용미리에 서울시립 공동묘지를 처음 조성했다.  
 
[[File:서울시립용미리1묘지항공.jpg|400px|섬네일|용미리 1묘지 항공사진]]
 
[[File:서울시립용미리1묘지항공.jpg|400px|섬네일|용미리 1묘지 항공사진]]
   6번째 줄: 6번째 줄:     
==시립묘지 파주이전==  
 
==시립묘지 파주이전==  
서울시는 미아리 공동묘지가 만장에 이르자 1933. 5.27일 당시 양주군 망우리  임야 70만평을 공동묘지로 추가했다. 한국전쟁 이후 인구가 급증하면서 공동묘지가 포화 상태에 이르자 1963.11.1일 광탄면 용미리 산107번지 일원  283만㎡ 부지를 서울시립 용미리 제1묘지로 개설했다.  
+
서울시는 미아리 공동묘지가 만장에 이르자 1933. 5.27일 당시 양주군 망우리  임야 70만평을 공동묘지로 추가했다. 한국전쟁 이후 서울시 인구가 급증하면서 공동묘지가 포화 상태에 이르자 1963.11.1일 광탄면 용미리 산107번지 일원  283만㎡ 부지를 서울시립 용미리 제1묘지로 개설했다.  
    
이 당시 서울특별시장은 윤태일 육군 제36보병사단장으로 5.16 군사 정변에 참여했다가 예편하고 시장으로 취임했던 시절이다.  서울시립묘지로 지정된 곳은 광탄면 용미와 조리면 장곡리를 통과하는 도로변 남측으로  243m의 높이의 명성산 계곡이 중심지이다. 부지는 국유지로 31천여 기의 묘지 설치가 가능했다.
 
이 당시 서울특별시장은 윤태일 육군 제36보병사단장으로 5.16 군사 정변에 참여했다가 예편하고 시장으로 취임했던 시절이다.  서울시립묘지로 지정된 곳은 광탄면 용미와 조리면 장곡리를 통과하는 도로변 남측으로  243m의 높이의 명성산 계곡이 중심지이다. 부지는 국유지로 31천여 기의 묘지 설치가 가능했다.
12번째 줄: 12번째 줄:  
서울시립 제1묘지는 35년만인 1998.8월에 만장되었고 2007.5월 일부 구역을 자연장지로 조성했다.  2017.8월에는 진입로 옹벽에 민들레의 일생을 그린 조형벽을 만들기도 했다.
 
서울시립 제1묘지는 35년만인 1998.8월에 만장되었고 2007.5월 일부 구역을 자연장지로 조성했다.  2017.8월에는 진입로 옹벽에 민들레의 일생을 그린 조형벽을 만들기도 했다.
   −
망우리 조성된 서울시립묘지에 28천여기가 만장 되자 1973.12.26일 혜음령 고개 인근  용미4리 지역에  107만 ㎡ 부지의 서울시립 용미리 제2묘지를 만들었다.  
+
혜음령 고개 인근 용미4리에 있는 용미리 제2묘지는 망우리에 조성된 서울시립묘지가 만장 되자 1973.12.26일 부지 107만 ㎡ 면적의 묘지를 추가로 조성했다.  
    
서울시는 부족한 묘지를 추가로 확보하기 위해 군부대가 훈련장으로 사용하던 제2묘지와 인접한 용미리 산6-1부지 28만여 ㎡(85천여평)을 반환 받았다. 1997.4월 지목변경 및 환경영향평가 등 묘지 조성과 관련된 절차를 밟고 사업비 99억원을 투입해 1999년말 시립묘지 조성을  완료했다.  
 
서울시는 부족한 묘지를 추가로 확보하기 위해 군부대가 훈련장으로 사용하던 제2묘지와 인접한 용미리 산6-1부지 28만여 ㎡(85천여평)을 반환 받았다. 1997.4월 지목변경 및 환경영향평가 등 묘지 조성과 관련된 절차를 밟고 사업비 99억원을 투입해 1999년말 시립묘지 조성을  완료했다.  
26번째 줄: 26번째 줄:  
서울시는 매장 방식의 문화를 화장 방식으로 전환하도록 당시 고건 서울시장은 '화장 유언 남기기 운동'을 시작했다. 이런 사회적 분위기로 1998년 말부터 서울 시립승화원(벽제화장장)을 찾는 시민들이 급격히 증가되는 현상이 발생했다.
 
서울시는 매장 방식의 문화를 화장 방식으로 전환하도록 당시 고건 서울시장은 '화장 유언 남기기 운동'을 시작했다. 이런 사회적 분위기로 1998년 말부터 서울 시립승화원(벽제화장장)을 찾는 시민들이 급격히 증가되는 현상이 발생했다.
   −
이런 사회 분위기에 따라 서울시는 용미리 1묘지 구역에  묘지형태의 본묘형 7,650위, 벽식형 5,348위, 왕릉·벽식 통합형 26,934위 전체36,932위를 신설했다.   
+
이런 사회적 분위기로 서울시는 용미리 1묘지 구역에  묘지형태의 본묘형 7,650위, 벽식형 5,348위, 왕릉·벽식 통합형 26,934위 전체36,932위를 신설했다.   
    
2000.4.9일에는 용미리 2묘지에 36,945위를 모실 수 있는 국내 최대 규모인 '제2추모의집'을 준공했다. 이 납골당은 지하2층, 지상3층 연건평 3천여제곱미터  규모로 유리납골함과 부부형 납골함도 설치 했다.
 
2000.4.9일에는 용미리 2묘지에 36,945위를 모실 수 있는 국내 최대 규모인 '제2추모의집'을 준공했다. 이 납골당은 지하2층, 지상3층 연건평 3천여제곱미터  규모로 유리납골함과 부부형 납골함도 설치 했다.
45번째 줄: 45번째 줄:  
서울시는 묘지의 행정 관리를 위해  용미1리 장곡리 부근 400구역, 용미2리 300구역, 용미3리 200구역, 용미4리 100구역으로 정해서 운영했다. 용미리 주민들은 묘지 공사 및 관리와 관련된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구역별로 비공식 조합을 구성해 운영했다.
 
서울시는 묘지의 행정 관리를 위해  용미1리 장곡리 부근 400구역, 용미2리 300구역, 용미3리 200구역, 용미4리 100구역으로 정해서 운영했다. 용미리 주민들은 묘지 공사 및 관리와 관련된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구역별로 비공식 조합을 구성해 운영했다.
   −
서울시립 묘지가 용미리에 생기면서 설날과 추석, 한식 등의 명절 전후에 밀려 오는 성묘객으로 광탄 지역은 매년 홍역을 치루는 것이 일상이었다.  2010년대만 해도 하루 평균 1만2,000여대가 다니는 도로는 추석, 설 등 성묘철만 되면 4만6,000여대가 몰려 극심한 정체를 빚는 곳이다.
+
서울시립 묘지가 용미리에 생기면서 설날과 추석, 한식 등의 명절 전후에 밀려 오는 성묘객으로 광탄 지역은 매년 교통체증이라는 홍역을 치루는 것이 일상이었다.  2010년대만 해도 하루 평균 1만2,000여대가 다니는 78번 도로는 추석, 설 등 성묘철만 되면 4만6,000여대가 몰려 극심한 정체가 발생했다.
    
성묘에 따른 교통 정체를 해소하기 위해 서울시는 명절기간 1주전부터  버스를 증차하고 고양리 버스 노선을 광탄 시가지로 우회하여 통일로로 회차 시키는 방법도 이용했다.  이와함께 승용차를 이용한 성묘객의 차량통제를 위해 서울시설관리 공단 직원을 묘지별로 배치했다.
 
성묘에 따른 교통 정체를 해소하기 위해 서울시는 명절기간 1주전부터  버스를 증차하고 고양리 버스 노선을 광탄 시가지로 우회하여 통일로로 회차 시키는 방법도 이용했다.  이와함께 승용차를 이용한 성묘객의 차량통제를 위해 서울시설관리 공단 직원을 묘지별로 배치했다.
54번째 줄: 54번째 줄:  
이외에도 1970년대에는 금촌 낙원공원묘지, 탄현 기독교상조회, 월롱 해방교회, 광탄 화교화원 등  5개소에 117만㎡ 부지에 5만3천기 정도를 수용할 수 있는 묘역이 조성됐다.
 
이외에도 1970년대에는 금촌 낙원공원묘지, 탄현 기독교상조회, 월롱 해방교회, 광탄 화교화원 등  5개소에 117만㎡ 부지에 5만3천기 정도를 수용할 수 있는 묘역이 조성됐다.
   −
경기도가 2019년에 발행한 경기도 장사시설 지역수급계획에 따르면 경기도 공설·공동묘지·법인 묘지의 전체 부지가 2,500만㎡이고 파주는 250만㎡로 8.8% 차지한다, 이는 서울시립묘지  390만㎡가 제외되어 있어 파주지역 전체는 전체 640만 ㎡에 이른다.
+
경기도가 2019년에 발행한 경기도 장사시설 지역수급계획에 따르면 경기도 공설·공동묘지·법인 묘지의 전체 부지가 2,500만㎡이고 파주는 220만㎡로 8.8% 차지한다, 이는 서울시립묘지  390만㎡가 제외되어 있어 파주지역 전체는 전체 610만 ㎡에 이른다.
    
==시립묘지 갈등==
 
==시립묘지 갈등==
 
파주가  묘지 시군이라는 오명을 갖게 된 것은 서울시립묘지의 영향이 가장 크다. 광탄이 고양시와 근접하면서도 주택보다 공장이 더 많은 것은 이 지역이 주택지로 부적합하다고 판단해서 일 것이다.
 
파주가  묘지 시군이라는 오명을 갖게 된 것은 서울시립묘지의 영향이 가장 크다. 광탄이 고양시와 근접하면서도 주택보다 공장이 더 많은 것은 이 지역이 주택지로 부적합하다고 판단해서 일 것이다.
   −
이런 피해의식은 1990년대 지방자치제가 시작되면서 더 심화되었고 주민들은 실력으로 봉안당 설치 허가를 지연시키는 등 지자체간의 갈등으로 확대됐다. 또 명절 및 한식때 방문하는 성묘객으로 교통체증이 발생하자 도로 확포장과 버스노선 증차 등 지역과 관계되는 사업을 서울시에 요구하기도 했다.
+
이런 피해의식은 1990년대 지방자치제가 시작되면서 더 심화되었고 주민들은 실력으로 봉안당 설치 허가를 지연시키는 등 지자체간의 갈등으로 확대됐다. 또 명절 및 한식때 방문하는 성묘객으로 교통체증이 발생하자 도로 확포장과 버스노선 증차 등 지역과 관계되는 사업을 서울시에 요구하기도 했다.
   −
서울시정개발연구원은 2010년 4월부터 8개월간 파주의 서울시립묘지의 묘역을 축소하고 화장장, 납골당, 골프장, 학교 건립 등과  관련된 타당성 용역을 추진했다. 이 과정에서 서울시가 광탄면 발전기금을 4천억원 정도를 지원한다면서 광탄면 주민 대표와 서울시설관리공단장을 면담까지 했다는 소문이 있었다.
+
서울시정개발연구원은 2010년 4월부터 8개월간 파주의 서울시립묘지의 묘역을 축소하고 화장장, 납골당, 골프장, 학교 건립 등과  관련된 타당성 [[용미리_시립묘지#용미리 시립묘지 활용방안 연구용역 개요|용역]]을 추진했다. 이 과정에서 서울시가 광탄면 발전기금을 4천억원 정도를 지원한다면서 광탄면 주민 대표와 서울시설관리공단장을 면담까지 했다는 소문이 있었다.
   −
2012.4.11일 19대 국회의원 선거 직전  2012.4.3일에는 이인재 파주시장과 박원순 서울 시장이  일반묘역을 납골당이나 수목장으로 전환하고 잔여지 75%는 학교와 병원, 연구소 등의 시설을 유치하기로 합의했다고 언론에서 발표했다.
+
2012.4.11일 19대 국회의원 선거 직전  2012.4.3일에는 이인재 파주시장과 박원순 서울 시장이  일반묘역을 납골당이나 수목장으로 전환하고 잔여지 75%는 학교와 병원, 연구소 등의 시설을 유치하기로 합의했다고 언론에서 발표했다.<ref>중앙일보 2012.4.4일 https://www.joongang.co.kr/article/7796496#home</ref>
    
2012.4월 합의문 발표하기 이전 2011.12.15일에는 윤후덕 국회의원 예비후보가 서울시를 방문하여 김상범 행정부시장과 용미리 서울시립묘지 문제를 논의했다. 윤후덕 예비후보는 묘지구역을 정비하고 서울시의 교육시설 등을 이전해 달라는 [[용미리_시립묘지/윤후덕의견서|의견서]]를 전달했다.
 
2012.4월 합의문 발표하기 이전 2011.12.15일에는 윤후덕 국회의원 예비후보가 서울시를 방문하여 김상범 행정부시장과 용미리 서울시립묘지 문제를 논의했다. 윤후덕 예비후보는 묘지구역을 정비하고 서울시의 교육시설 등을 이전해 달라는 [[용미리_시립묘지/윤후덕의견서|의견서]]를 전달했다.
 
   
 
   
 
서울시와 합의후 일반묘역을 축소하는 '시립묘지의 생산적 활용을 위한 개발계획' 용역을  발주하고 관련 전문가가 참여하는 실무협의체를 구성하기로 했지만 2022년 현재까지 결과는 아직 없다.
 
서울시와 합의후 일반묘역을 축소하는 '시립묘지의 생산적 활용을 위한 개발계획' 용역을  발주하고 관련 전문가가 참여하는 실무협의체를 구성하기로 했지만 2022년 현재까지 결과는 아직 없다.
 +
 +
==여론 여담==
 +
=== 무더기 유골 발견===
 +
[[File:km-집단유골.JPG|400px|섬네일|국민일보,1989.3.16.파주군청 스크랩 ]]
 +
1989.3.15일자 국민일보와 경기일보에 따르면 1989.3.14일 용미3리 서울시립묘지 100-4구역에서 20년 이상 무연고자 묘지를 이장하면서 집단매장된 유골이 발견됐다고 보도했다.
 +
 +
1989.3.13일부터 발굴 작업하던 첫 날은 370여구, 다음날 14일은 150여구 등 모두 520여구의 유골이 발견됐다. 유골이 발견 된 묘지는 평균 1평 정도의 크기로 2~19구까지 유골이 매장돼 있었고 옷가지와 신발 등 소지품도 발견됐다.
 +
 +
무더기 유골이 발견되자 인근 주민이 당시 평화민주당에 신고하였고 평민당에서는 경찰에 유골 감정을 요청했다.
 +
 +
이와 관련하여 서울시립장묘사업소측은 1971년까지는 행려자 및 무연고자가 사망하는 경우에는 3~5구의 시신을 집단 매장했다고 밝혔다.--paki 2024년 2월 6일 (화) 23:00 (KST)
    
==관련 정보==
 
==관련 정보==
164번째 줄: 175번째 줄:  
*담당자 : 김미영
 
*담당자 : 김미영
 
*연구수행기관 : (재)서울연구원
 
*연구수행기관 : (재)서울연구원
 +
 +
===사진 모음===
 +
<gallery>
 +
File:seoul용미1묘지1.jpg|용미1묘지
 +
File:seoul용미2묘지.jpg|용미2묘지
 +
</gallery>
    
----
 
----
175번째 줄: 192번째 줄:  
[[분류:광탄]]
 
[[분류:광탄]]
   −
<seo title="파주인의 백과사전 파주위키" metakeywords="파주, 파주시, 파주위키, 용미리, 시립묘지, 서울시, 장지, 묘지, 생활 " metadescription="용미리 시립묘지 " />
+
<seo title="용미리 서울시립묘지 " metakeywords="파주, 파주시, 파주위키, 용미리, 시립묘지, 서울시, 장지, 묘지, 생활 " metadescription="파주에 있는 서울 시립묘지 " "google-site-verification="G-VN56J4JGXJ"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