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번째 줄:
6번째 줄:
==생애==
==생애==
−
옥봉은 양녕대군의 고손자로, 이봉(李逢·1526~?)의 서녀로 충청도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이봉은 옥봉의 글재주를 기특히 여겨 시를 공부할 수 있도록 책을 아낌 없이 사주었다.
+
옥봉은 양녕대군의 고손자 이봉(李逢·1526~?)의 서녀로 충청도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이봉은 옥봉의 글재주를 기특히 여겨 시를 공부할 수 있도록 책을 아낌 없이 사주었다.
옥봉의 호도 아버지 이봉이 옥돌이 솟아 오른듯 아름다운 봉우리라는 뜻으로 직접 만들어 주었다.
옥봉의 호도 아버지 이봉이 옥돌이 솟아 오른듯 아름다운 봉우리라는 뜻으로 직접 만들어 주었다.
−
서녀로 태어나 양반가에 첩으로 시집을 갈 수 밖에 없었지만 옥봉은 '왕실의 후예'로서 상당한 자부심을 갖고 있었다. 옥봉은 양반 집안에 출가 하였으나 남편과 사별하여 친정으로 돌아 왔다.
+
서녀로 태어나 양반가에 첩으로 시집을 갈 수 밖에 없었지만 옥봉은 '왕실의 후예'로서 상당한 자부심을 갖고 있었다. 옥봉은 17세에 양반 집안에 출가 하였으나 1년만에 남편과 사별하여 친정으로 돌아 왔다.
옥봉은 한양에서 시인묵객들과 어울려 지내면서 조원(1544~1595)을 만나게 되고 그를 흠모하게 됐다. 이런 사정을 알게된 아버지 이봉은 조원을 만나 소실로 맞아 달라고 사정했지만 거절 당했다.
옥봉은 한양에서 시인묵객들과 어울려 지내면서 조원(1544~1595)을 만나게 되고 그를 흠모하게 됐다. 이런 사정을 알게된 아버지 이봉은 조원을 만나 소실로 맞아 달라고 사정했지만 거절 당했다.
23번째 줄:
23번째 줄:
조원의 조상묘가 파주에 있었고 묘지기가 소도둑 누명을 쓰고 사형 당할 처지가 되자 묘지기 아내가 다급하게 조원을 찾아 갔다. 조원은 출타 중이어서 옥봉은 위인송원(爲人訟寃)이라는 시 한 수를 적어 묘지기 아내에게 전해 주었다.
조원의 조상묘가 파주에 있었고 묘지기가 소도둑 누명을 쓰고 사형 당할 처지가 되자 묘지기 아내가 다급하게 조원을 찾아 갔다. 조원은 출타 중이어서 옥봉은 위인송원(爲人訟寃)이라는 시 한 수를 적어 묘지기 아내에게 전해 주었다.
−
파주목사는 옥봉의 시를 보고 묘지기를 석방했다. 그러나 남편 조원은 사헌부 고위직의 아내가 파주목사에게 사찰을 보내 청탁한 것으로 보아 옥봉을 처가로 보냈다.
+
파주목사는 옥봉의 시를 보고 묘지기를 석방했다. 그러나 남편 조원은 사헌부 고위직의 아내가 파주목사에게 서찰을 보내 청탁한 것으로 보아 옥봉을 처가로 보냈다.
[[File:옥봉묘비.jpg|400px|섬네일|용미리의 묘비, 사진 파주알리미 강병석]]
[[File:옥봉묘비.jpg|400px|섬네일|용미리의 묘비, 사진 파주알리미 강병석]]
141번째 줄:
141번째 줄:
==관련 정보==
==관련 정보==
===링크 모음===
===링크 모음===
+
*[https://www.okhs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0257 옥천향수신문]
+
*[http://photo.paju.wiki/pkstorage/repository/지역사/이옥봉시인.pdf 여류시인 옥봉을 찾아서, 성지오]
'''주변 명소'''
'''주변 명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