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번째 줄:
5번째 줄:
조선시대에 유명했더 조리읍 공능장에서부터 시작된 것으로 보이며 1900년대 사진에 따르면 금촌역에서 32정(町) 거리에 위치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조선시대에 유명했더 조리읍 공능장에서부터 시작된 것으로 보이며 1900년대 사진에 따르면 금촌역에서 32정(町) 거리에 위치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
일제때 이용하던 1정은 109.091m로 32정은 3.8km 정도의 거리로 볼 수 있고 현재 봉일천전통시장에 위치한 것으로 추정된다. 옛날 우시장 사진에서 보이는 배경 사진은 통일로 북쪽 방향의 산으로 볼 수 있다 우시장 남쪽은 공릉천과 벌판으로 산세가 없는 지형이다.
+
일제때 이용하던 1정은 109.091m로 금촌역에서 32정을 환산하면 3.8km 정도의 거리로 현재 봉일천전통시장에 위치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옛날 우시장 사진에서 보이는 배경은 통일로 북쪽 방향의 산으로 볼 수 있으며 우시장 남쪽은 공릉천과 벌판으로 산세가 없는 지형이다.
[[File:pk봉일천시장.jpg|800px|카카오맵 거리측정]]
[[File:pk봉일천시장.jpg|800px|카카오맵 거리측정]]
11번째 줄:
11번째 줄:
[[File:pk봉일천우시장추정.jpg|800px]]
[[File:pk봉일천우시장추정.jpg|800px]]
−
*구글어스에서 본 북쪽 방향
+
*봉일천 전통시장에서 본 북쪽 방향, 구글어스
==규모==
==규모==
19번째 줄:
19번째 줄:
==이전==
==이전==
−
조선시대부터 공릉장과 함께 봉일천 우시장이 유지되다거 1953년 휴전후 파주군청이 금촌으로 이전하면서 봉일천 우시장도 금촌장으로 이전된 것으로 추측된다.
+
조선시대부터 공릉장과 함께 봉일천 우시장이 유지되다가 1953년 휴전후 파주군청이 금촌으로 이전하면서 봉일천 우시장도 금촌장으로 이전된 것으로 추측된다.
−
*인용 <ref> 이윤희, 파주문화 제28호, 파주의 우시장 이야기 </ref>--paki 2024년 6월 4일 (화) 17:57 (KST)
+
*출처 <ref> 이윤희, 파주문화 제28호, 파주의 우시장 이야기 </ref>--paki 2024년 6월 4일 (화) 17:57 (KST)
==관련 정보==
==관련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