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1,264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6월 29일 (토) 20:35
잔글
편집 요약 없음
7번째 줄: 7번째 줄:  
경기도와 파주시는 수도권정비계획법과 군사협의를 해결하고 2003.7월  파주LCD 지방산업단지로 지정했다. 이후 2004. 3.18일 LPL 파주공장 착공식을 추진하고 2006년부터 제품을 생산했다.
 
경기도와 파주시는 수도권정비계획법과 군사협의를 해결하고 2003.7월  파주LCD 지방산업단지로 지정했다. 이후 2004. 3.18일 LPL 파주공장 착공식을 추진하고 2006년부터 제품을 생산했다.
   −
LG디스플레이 본사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128 (여의도동)에 위치에 있고 경상북도 구미(6개) 및 파주(3개)에서 총 9개의 LCD 패널공장을 건립했다. 모듈 공장도 경상북도 구미, 경기도 파주, 중국 난징 및 광저우 그리고 폴란드 브로츠와프에 건립했다.
+
LG디스플레이 본사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128 (여의도동)에 위치에 있고 경상북도 구미(6개) 및 파주(3개)에서 총 9개의 LCD 패널공장을 운영했다. 모듈 공장도 경상북도 구미, 경기도 파주, 중국 난징 및 광저우 그리고 폴란드 브로츠와프에 운영했다.
   −
==추진 과정==
+
==건립 과정==
 
=== 배경===
 
=== 배경===
 
[[File:lg디스플레이.JPG|400px|섬네일|2024.3월 구글어스 위성사진]]
 
[[File:lg디스플레이.JPG|400px|섬네일|2024.3월 구글어스 위성사진]]
LG. Philips LCD사에서는 공장 설립 후보지로 국내 수도권 지역을 포함한 중국, 대만 등 해외지역까지 포함하여 검토면서 2002년 5월 경기도와 투자  협의를 시작했다.
+
LG. Philips LCD사에서는 공장 설립 후보지로 국내 수도권 지역을 포함한 중국, 대만 등 해외지역까지 포함하여 검토하면서 2002년 5월 경기도와 투자  협의를 시작했다.
    
LG. Philips LCD사에서는 수도권 투자입지로 경기도가 산업단지로 개발을 이미 추진하고 있던  
 
LG. Philips LCD사에서는 수도권 투자입지로 경기도가 산업단지로 개발을 이미 추진하고 있던  
화성 발안단지와  평택 현곡단지 선호했다.
+
화성 발안단지와  평택 현곡단지를 선호했다.
 
   
 
   
 
경기도는 비교적 낙후된 접경지역인 월롱지구에 외국인투자기업의 대규모 공장을 유치할 경우 수도권의 균형 개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보았다.  
 
경기도는 비교적 낙후된 접경지역인 월롱지구에 외국인투자기업의 대규모 공장을 유치할 경우 수도권의 균형 개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보았다.  
29번째 줄: 29번째 줄:  
** LCD 협력단지 : 2개소 60만평(당동 194,000평, 선유 397,000평)  
 
** LCD 협력단지 : 2개소 60만평(당동 194,000평, 선유 397,000평)  
 
*종업원수 : 35,000여명(본단지 25,000명, 협력단지 10,000명)  
 
*종업원수 : 35,000여명(본단지 25,000명, 협력단지 10,000명)  
*주요생산품 : TFT-LCD (7세대 이후 대형TV용 제품위주 생산)  
+
*주요생산품 : TFT-LCD (7세대 이후 대형TV용 제품위주 생산)
    
===투자 양해각서 체결===
 
===투자 양해각서 체결===
121번째 줄: 121번째 줄:  
지난해 유급휴직 신청과 올해 초 희망퇴직 접수, 교대근무 시행 공지 등은 이미 진행 중인 인력 조정의 구체적인 예로 보인다.<ref>뉴스1 2024.3.27.
 
지난해 유급휴직 신청과 올해 초 희망퇴직 접수, 교대근무 시행 공지 등은 이미 진행 중인 인력 조정의 구체적인 예로 보인다.<ref>뉴스1 2024.3.27.
 
https://mobile.newsis.com/view.html?ar_id=NISX20240326_0002675996</ref>  
 
https://mobile.newsis.com/view.html?ar_id=NISX20240326_0002675996</ref>  
 +
 +
===희망퇴직 20대로 확대===
 +
2024.6월 LG디스플레이는 구미공장과 파주공장의 만 20세 이상 및 근속 3년 이상 생산직을 대상으로 희망퇴직 접수를 받고 있다.
 +
 +
2023년말 만 40세 이상 생산직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접수하다가 근속 5년 이상 또는 만 30세 이상 생산직으로 대상을 대폭 확대한 것에 이은 후속조치다.
 +
 +
업계에서는 20대 직원에 대해 희망퇴직 신청을 받는 것은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해당 희망퇴직자에게는 36개월치 고정급여 등이 지급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ref>이데일리 2024.62.26.https://m.edaily.co.kr/news/read?newsId=02666646638925656&mediaCodeNo=257&fbclid=IwZXh0bgNhZW0CMTEAAR1KovDD3wJ0VWo5TEx2iX-sZGZjxuO8f4z3D7Bo-xx3ojNgqcl3UUSYAhg_aem_yHkSsTtA-jV4bYo2oMSh3A </ref>--paki 2024년 6월 29일 (토) 12:19 (KST)
 +
 +
===본사 이전===
 +
LG디스플레이는 조직 개편과 함께 임대료 등의 비용 절감을 위해 여의도 트윈타워의 본사를 파주 공장 또는 서울 마곡으로 이전 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ref>이데일리 2024.62.26.LGD, 희망퇴직 20대로 확대…36개월 치 임금 지급</ref>--2024년 6월 29일 (토) 20:29 (KST)
    
==사건 사고==
 
==사건 사고==
134번째 줄: 144번째 줄:  
    
 
    
 
==여론 여담==
 
==여론 여담==
      
==관련 정보==
 
==관련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