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번째 줄:
3번째 줄:
==위치==
==위치==
+
[[File:410518파주지역현황표-국립민속박물관.png|400px|섬네일|위치, 국립민속박물관]]
파주는 한반도 중심부에 자리 잡고 있으며 경기도 서북단 (동경 127˚01′~126˚41′, 북위 37˚42′~38˚07′)에 위치하고 있다. 동쪽으로는 양주시, 북쪽으로는 연천군과 북한, 남쪽으로는 고양시와 접하고 서남쪽으로는 한강을 경계로 김포시와 인접해 있다.
파주는 한반도 중심부에 자리 잡고 있으며 경기도 서북단 (동경 127˚01′~126˚41′, 북위 37˚42′~38˚07′)에 위치하고 있다. 동쪽으로는 양주시, 북쪽으로는 연천군과 북한, 남쪽으로는 고양시와 접하고 서남쪽으로는 한강을 경계로 김포시와 인접해 있다.
25번째 줄:
26번째 줄:
최근 10년간 연평균기온은 10.9°C, 1월 평균기온 -5.3°C, 8월 평균 기온 24.9°C이다. 연교차는 30.1°C로 여름은 덥고 겨울에는 추운 대륙성 기후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최근 10년간 연평균기온은 10.9°C, 1월 평균기온 -5.3°C, 8월 평균 기온 24.9°C이다. 연교차는 30.1°C로 여름은 덥고 겨울에는 추운 대륙성 기후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
==지역 역사==
+
==행정 구역==
−
고조선 이후 파주는 파주읍 지역인 술이홀과 교하지역인 천정구, 적성지역인 난은별, 장단지역인 야아로 나누어져 있었다. 술이홀 지역은 삼국시대에 백제의 영토였지만 475년 고구려와의 계속된 전쟁에 패하면서 파주지역 전체가 고구려의 영토가 됐다. 그 후 신라 진흥왕 때 고구려를 몰아내고 신라가 차지했으며 삼국통일 과정에서 파주는 고구려와 신라의 각축장이 되었다.--1pi2023.1.27.
+
고조선 이후 파주는 파주읍 지역인 술이홀과 교하지역인 천정구, 적성지역인 난은별, 장단지역인 야아로 나누어져 있었다. 술이홀 지역은 삼국시대에 백제의 영토였지만 475년 고구려와의 계속된 전쟁에 패하면서 파주지역 전체가 고구려의 영토가 됐다. 그 후 신라 진흥왕 때 신라가 차지했으며 삼국통일 과정에서 파주는 고구려와 신라의 각축장이 되었다.--1pi2023.1.27.
한반도에서 각축장이 된 것은 임진강을 중심으로 북쪽으로는 개경과 남쪽으로는 한양이 있어 파주가 누구의 땅인가에 따라 당대의 주도권을 가질 수 있는 요충지가 된 것이다. 이후 고려 태조 왕건은 936년 후삼국을 통일하고 각 지역을 주, 부, 군, 현(州府郡縣)으로 지명을 고치는데 이때 지금의 파주시인 적성지역을 적성현이라 불렀다. 그 뒤 장단, 적성, 파평 지역이 개성부 관할의 기현에 속하게 된다.
한반도에서 각축장이 된 것은 임진강을 중심으로 북쪽으로는 개경과 남쪽으로는 한양이 있어 파주가 누구의 땅인가에 따라 당대의 주도권을 가질 수 있는 요충지가 된 것이다. 이후 고려 태조 왕건은 936년 후삼국을 통일하고 각 지역을 주, 부, 군, 현(州府郡縣)으로 지명을 고치는데 이때 지금의 파주시인 적성지역을 적성현이라 불렀다. 그 뒤 장단, 적성, 파평 지역이 개성부 관할의 기현에 속하게 된다.
33번째 줄:
34번째 줄:
1459년(세조5년) 세조의 왕비 정희왕후의 내향인 원평도호부를 [[파주목|파주목]]으로 승격시키면서 처음 파주(坡州)라는 지명이 만들어 졌다. 1895년(고종32년) 부군제로 개편되면서 [[파주군|파주군]]이 되었고 인구 15만명 이상의 기준으로 1996.3.1일 [[파주시|파주시]]로 승격됐다.
1459년(세조5년) 세조의 왕비 정희왕후의 내향인 원평도호부를 [[파주목|파주목]]으로 승격시키면서 처음 파주(坡州)라는 지명이 만들어 졌다. 1895년(고종32년) 부군제로 개편되면서 [[파주군|파주군]]이 되었고 인구 15만명 이상의 기준으로 1996.3.1일 [[파주시|파주시]]로 승격됐다.
+
+
===서원군===
+
파주목의 읍치가 있던 옛 서원군의 범위는 현재 파주시 광탄면, 문산읍. 월롱면. 조리읍. 파주읍 등 약 5개 지역이 포함된 것으로 보이며 城(성)과 관련된 서원군의 이름으로『신증동국여지승람』파주목의 건치연혁 항목에 고구려 때의 (술이홀), 신라 때의 峯城(봉성) 등 2개가 나온다.
+
+
이와 함께 산천 항목에는 서쪽 2리의 城山(성산), 고적 항목에는 城山古城(성산고성)이 기록되어 있다. 성산고성은 파주시 파주읍 봉서리의 봉서산(215.5m) 정상 부근을 둘러싼 둘레 875m의 봉서산성이다.<ref>고지도를 통해 본 경기지명연구 237쪽, 국립중앙도서관, 2011.11.30일 발행 </ref>--2024년 5월 7일 (화) 22:09 (KST)
+
+
===파평현===
+
『신증동국여지승람』파주목의 건치연혁에 파평현의 연혁이 기록되어 있고 파평현의 범위는 현재의 파주시 파평면과 법원읍 일대에 걸쳐 있는 것으로 보인다.
+
+
기록에 의하면 고적으로 동북 30리의 고파평현古坡平縣이라는 기록이 있으며 현재의 파평면 마산리 벌말 일대이다. 이 지역에서 가장 높은 산의 이름이 파평현과 동일한 파평산(496m)으로 순우리말 이름은 잣듸산이기도 하다. 여기서‘잣’은 城(성)을 의미하는 순우리말 이름으로 주변에 산성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ref>서원군 각주 참조</ref>--2024년 5월 7일 (화) 22:17 (KST)
===파주목===
===파주목===
60번째 줄:
71번째 줄:
==지명 유래==
==지명 유래==
+
===술이홀===
+
백제의 영토였던 술이홀(述爾忽)은 임진강 이남 봉서산 중심의 지역으로 술미홀(述彌忽), 술이홀(述尒忽)이라고도 불렀다. <ref>한국민족대백과사전, 술미홀</ref>
+
+
술이홀에서 '술(述)'은 '수리'와 같이 둥근 모양을 나타내며 한자화되면서 '봉(峯)'으로 변화된 것으로 보이며 신라 경덕왕때 봉성현(峯城縣)이 됐다.
+
+
===파주===
파주(坡州)의 '파(坡)'는 언덕이라는 한자이다. '주(州)' 조선시대 큰마을을 부르는 명칭이다.
파주(坡州)의 '파(坡)'는 언덕이라는 한자이다. '주(州)' 조선시대 큰마을을 부르는 명칭이다.
이중 '파(坡)'는 지금의 파평면의 금파리와 장파리로 이어지는 장마루 언덕 모양때문에 불려진 것으로 보고 있다.
이중 '파(坡)'는 지금의 파평면의 금파리와 장파리로 이어지는 장마루 언덕 모양때문에 불려진 것으로 보고 있다.
90번째 줄:
107번째 줄:
[[분류:지역일반]]
[[분류:지역일반]]
−
[[분류:역사]]
+
[[분류:지역사]]
{{노출틀| 파주 개괄 |파주목,파주군,파주시, 파주, 승격 |파주의 시작}}
{{노출틀| 파주 개괄 |파주목,파주군,파주시, 파주, 승격 |파주의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