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1,527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7월 18일 (목) 15:48
잔글
26번째 줄: 26번째 줄:  
최근 10년간 연평균기온은 10.9°C, 1월 평균기온 -5.3°C, 8월 평균 기온 24.9°C이다. 연교차는 30.1°C로 여름은 덥고 겨울에는 추운 대륙성 기후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최근 10년간 연평균기온은 10.9°C, 1월 평균기온 -5.3°C, 8월 평균 기온 24.9°C이다. 연교차는 30.1°C로 여름은 덥고 겨울에는 추운 대륙성 기후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
==지역 역사==
+
==행정 구역==
 
고조선 이후 파주는 파주읍 지역인 술이홀과 교하지역인 천정구, 적성지역인 난은별, 장단지역인 야아로 나누어져 있었다. 술이홀 지역은 삼국시대에 백제의 영토였지만 475년 고구려와의 계속된 전쟁에  패하면서 파주지역 전체가 고구려의 영토가 됐다. 그 후 신라 진흥왕 때 신라가 차지했으며 삼국통일 과정에서 파주는 고구려와 신라의 각축장이 되었다.--1pi2023.1.27.
 
고조선 이후 파주는 파주읍 지역인 술이홀과 교하지역인 천정구, 적성지역인 난은별, 장단지역인 야아로 나누어져 있었다. 술이홀 지역은 삼국시대에 백제의 영토였지만 475년 고구려와의 계속된 전쟁에  패하면서 파주지역 전체가 고구려의 영토가 됐다. 그 후 신라 진흥왕 때 신라가 차지했으며 삼국통일 과정에서 파주는 고구려와 신라의 각축장이 되었다.--1pi2023.1.27.
   34번째 줄: 34번째 줄:     
1459년(세조5년) 세조의 왕비 정희왕후의 내향인 원평도호부를 [[파주목|파주목]]으로 승격시키면서 처음 파주(坡州)라는 지명이 만들어 졌다. 1895년(고종32년) 부군제로 개편되면서 [[파주군|파주군]]이 되었고 인구 15만명 이상의 기준으로 1996.3.1일 [[파주시|파주시]]로 승격됐다.
 
1459년(세조5년) 세조의 왕비 정희왕후의 내향인 원평도호부를 [[파주목|파주목]]으로 승격시키면서 처음 파주(坡州)라는 지명이 만들어 졌다. 1895년(고종32년) 부군제로 개편되면서 [[파주군|파주군]]이 되었고 인구 15만명 이상의 기준으로 1996.3.1일 [[파주시|파주시]]로 승격됐다.
 +
 +
===서원군===
 +
파주목의 읍치가 있던 옛 서원군의 범위는 현재 파주시 광탄면, 문산읍. 월롱면. 조리읍. 파주읍 등 약 5개 지역이 포함된 것으로 보이며 城(성)과 관련된 서원군의 이름으로『신증동국여지승람』파주목의 건치연혁 항목에 고구려 때의 (술이홀), 신라 때의 峯城(봉성) 등 2개가 나온다.
 +
 +
이와 함께 산천 항목에는 서쪽 2리의 城山(성산), 고적 항목에는 城山古城(성산고성)이 기록되어 있다. 성산고성은 파주시 파주읍 봉서리의 봉서산(215.5m) 정상 부근을 둘러싼 둘레 875m의 봉서산성이다.<ref>고지도를 통해 본 경기지명연구 237쪽, 국립중앙도서관, 2011.11.30일 발행 </ref>--2024년 5월 7일 (화) 22:09 (KST)
 +
 +
===파평현===
 +
『신증동국여지승람』파주목의 건치연혁에 파평현의 연혁이 기록되어 있고 파평현의 범위는 현재의 파주시 파평면과 법원읍 일대에 걸쳐 있는 것으로 보인다.
 +
 +
기록에 의하면 고적으로 동북 30리의 고파평현古坡平縣이라는 기록이 있으며  현재의 파평면 마산리 벌말 일대이다. 이 지역에서 가장 높은 산의 이름이 파평현과 동일한 파평산(496m)으로 순우리말 이름은 잣듸산이기도 하다. 여기서‘잣’은 城(성)을 의미하는 순우리말 이름으로 주변에 산성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ref>서원군 각주 참조</ref>--2024년 5월 7일 (화) 22:17 (KST)
    
===파주목===
 
===파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