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번째 줄:
1번째 줄:
−
파주는 원래 고조선 지역으로 475년 고구려 장수왕때 술이홀현이 되었다가 1459년 세조 왕비인 정희왕후의 고향(내향)이라하여 원평부에서 '파주목'으로 승격됐다.[paki 2022년 8월 18일 (목) 11:49 (KST)]
+
[[파주|파주]]는 원래 고조선 지역으로 475년 고구려 장수왕때 술이홀현이 되었다가 1459년 세조 왕비인 정희왕후의 고향(내향)이라하여 원평부에서 '파주목'으로 승격됐다.[paki 2022년 8월 18일 (목) 11:49 (KST)]
[[File:파주목관아.PNG|400px|섬네일|파주목사 위치도]]
[[File:파주목관아.PNG|400px|섬네일|파주목사 위치도]]
5번째 줄:
5번째 줄:
한반도의 중심에 위치한 파주는 지리적 위치와 지형적 특징으로 임진강 주변은 삼국시대부터 치열한 충돌지역이었다.
한반도의 중심에 위치한 파주는 지리적 위치와 지형적 특징으로 임진강 주변은 삼국시대부터 치열한 충돌지역이었다.
−
파주는 원래 고조선 지역이었다가 고구려가 475년 백제 지역이었던 파주지역을 점령하면서 술이홀현 지명을 갖게 됐다.그후 서원현이 되었다가 1393년 서원군으로 승격되고 지금의 파평지역인 파평현을 병합하면서 1459.10.2일(음력) 파주목이 됐다.
+
파주는 원래 고조선 지역이었다가 고구려가 475년 백제 지역이었던 파주지역을 점령하면서 술이홀현 지명을 갖게 됐다.그후 서원현이 되었다가 1393년 서원군으로 승격되고 지금의 파평지역인 파평현을 1398년 병합하면서 원평군이 됐다.
+
+
세조가 계유정난으로 정권을 장악한후 1455년 단종을 폐위하고 왕위에 오른후 1459.10.2일(음력) 정희왕후의 내향인 원평도호부를 승격시키면서 지명을 바꾸어 '파주목'이 됐다.
파주는 북부지지역의 중요한 군사거점으로 광주, 여주, 양주와 함께 경기도에 있던 4개 목중 하나이다. 파주목은 1895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파주군이 됐다.
파주는 북부지지역의 중요한 군사거점으로 광주, 여주, 양주와 함께 경기도에 있던 4개 목중 하나이다. 파주목은 1895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파주군이 됐다.
43번째 줄:
45번째 줄:
파주라는 지명은 파평(坡平)의 '파(坡)'에서 따왔고 큰 고을이라는 의미로 '주(州)'를 붙여서 만들어 졌다. 파평이라는 지명은 언덕이 많은 지역이라는 설과 이 지역의 산성이 있던 파평산(坡平山)과 영평산(鈴平山)에서 따온 것이라고 주장하는 설이 있다.
파주라는 지명은 파평(坡平)의 '파(坡)'에서 따왔고 큰 고을이라는 의미로 '주(州)'를 붙여서 만들어 졌다. 파평이라는 지명은 언덕이 많은 지역이라는 설과 이 지역의 산성이 있던 파평산(坡平山)과 영평산(鈴平山)에서 따온 것이라고 주장하는 설이 있다.
−
1895년 전국을 23개 부로 구획하고 종래의 부(府), 목(牧), 군(郡), 현(縣)으로 구분되어 있던 명칭을 군(郡)으로 통일시키면서 파주목이 '파주군'으로 바뀌었고 1996.3.1. 군 전체 인구가 15만 이상되면서 도농복합시인 파주시로 승격했다.
+
1895년 전국을 23개 부로 구획하고 종래의 부(府), 목(牧), 군(郡), 현(縣)으로 구분되어 있던 명칭을 군(郡)으로 통일시키면서 파주목이 '파주군'으로 바뀌었고 1996.3.1. 군 전체 인구가 15만 이상되면서 도농복합시인 [[파주시|파주시]]로 승격했다.
==관아 조직==
==관아 조직==
75번째 줄:
77번째 줄:
당시 한일합방 직후 일제는 전국의 객사를 철거하려고 했지만 조선인의 반발로 신교육을 위한 학교로 전환했다고 한다.
당시 한일합방 직후 일제는 전국의 객사를 철거하려고 했지만 조선인의 반발로 신교육을 위한 학교로 전환했다고 한다.
−
한국전쟁후 파주국민학교가 있던 객사가 소실되면서 동헌 위치로 옮겨 재건됐다. 1953년 소실된 객사 부지에는 미1군단 CIC부대가 주둔하다가 한국군 기무부대로 이관됐다. <ref>파주목 객사영역의 건축특징학술고증연구 보고서, 희우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주), 2019.10월</ref>
+
한국전쟁후 파주국민학교가 있던 객사가 소실되면서 동헌 위치로 옮겨 재건됐다. 소실된 객사 부지에는 1953년 미1군단 CIC부대가 주둔하다가 한국군 기무부대로 이관됐다. <ref>파주목 객사영역의 건축특징학술고증연구 보고서, 희우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주), 2019.10월</ref>
현재까지 알려진 파주목 관아지의 부지규모는 객사였던 국군 제501 기무부대와 구 파주읍사무소가 72천여㎡이고 <ref>파주목 관아터 문화재지표조사 보고서</ref> 동헌이었던 파주초교 부지가 21천여㎡로 전체 93천여㎡(28천여평,금촌택지 C3블록의 2.2배)이다. 이외에도 연무정,사당, 무기고 등을 포함하면 10만여㎡ 이상의 규모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까지 알려진 파주목 관아지의 부지규모는 객사였던 국군 제501 기무부대와 구 파주읍사무소가 72천여㎡이고 <ref>파주목 관아터 문화재지표조사 보고서</ref> 동헌이었던 파주초교 부지가 21천여㎡로 전체 93천여㎡(28천여평,금촌택지 C3블록의 2.2배)이다. 이외에도 연무정,사당, 무기고 등을 포함하면 10만여㎡ 이상의 규모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
*[[파주시 청사|파주시 청사의 역사]]
==관아지 복원 추진==
==관아지 복원 추진==
87번째 줄:
90번째 줄:
2019년에는 관아지 복원을 위한 '파주목 객사영역의 건축특징 학술고증연구' 용역을 실시해 건물의 구조 및 규모를 제시했다.
2019년에는 관아지 복원을 위한 '파주목 객사영역의 건축특징 학술고증연구' 용역을 실시해 건물의 구조 및 규모를 제시했다.
−
==관련 정보==
+
==파주목 봉황축제==
+
2008.11.30일 현재 파주읍 신청사 준공식과 함께 기념행사로 '파주목 봉황축제'가 개최됐다. 축제는 현 파주리에 파주목 읍치가 있었던 것을 기념하기 위해 2년마다 열린다. 지금까지 2008년, 2010년, 2012년, 2014년, 2016년, 2018년까지 개최되었고 2020년에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중단됐다가 제7회 축제가 2022.11월에 열린다.--1paki 2022년 11월 14일 (월) 20:10 (KST)
+
+
==여론 여담==
===파주 지명 탄생일 환산===
===파주 지명 탄생일 환산===
'파주' 지명이 처음 만들어 진 세조5년 10월2일은 음력으로 1459.10.2일이다. 이 날자를 양력으로 환산하면 1459.10.27일(토)으로 2022.10.27일은 '파주'지명 탄생 563주년이 된다.
'파주' 지명이 처음 만들어 진 세조5년 10월2일은 음력으로 1459.10.2일이다. 이 날자를 양력으로 환산하면 1459.10.27일(토)으로 2022.10.27일은 '파주'지명 탄생 563주년이 된다.
94번째 줄:
100번째 줄:
1984년 발간된 '파주군사' 상권에 의하면 동헌 앞 정면 입구에는 '청각루(聽角樓)', 반대편에는 은약루(隱若樓)라는 현판이 달린 문루가 있었다고 한다.
1984년 발간된 '파주군사' 상권에 의하면 동헌 앞 정면 입구에는 '청각루(聽角樓)', 반대편에는 은약루(隱若樓)라는 현판이 달린 문루가 있었다고 한다.
−
조선시대 관헌 입구에는 대부분 누각이 있었지만 1938년 당시 송석하가 촬영한 '청각루' 현판이 달린 문루 사진 설명에는 '주내양반집 누각'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
조선시대 관헌 입구에는 대부분 누각이 있었지만 1938년 당시 송석하가 촬영한 '청각루' 현판이 달린 문루 사진 설명에는 '주내양반집 누각'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촬영된 문루 사진 안쪽의 가옥 사진에도 '주내양반집 대문'이라고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한일합방후 동헌 건물이 개인이나 유력자의 소유로 이전된 것으로 추정된다.
−
−
촬영된 문루 사진 안쪽의 가옥 사진에도 '주내양반집 대문'이라고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한일합방후 동헌 건물이 개인이나 유력자의 소유로 이전된 것으로 추정된다.
[[File:1938년주내양반집누각-사진송석하.png|430px|1938년 주내 양반집 누각, 사진 송석하]]
[[File:1938년주내양반집누각-사진송석하.png|430px|1938년 주내 양반집 누각, 사진 송석하]]
103번째 줄:
107번째 줄:
1938년 주내 양반집 누각, 사진 송석하 / 1938년 주내 양반집 대문, 사진 송석하
1938년 주내 양반집 누각, 사진 송석하 / 1938년 주내 양반집 대문, 사진 송석하
−
===문헌 및 참고===
+
==관련 정보==
−
*[https://gplib.kr/poc/www/view.do?key=1903277611007&beforeUrl=grv_list&gorvKey=1904188278262&parentKey=1904188270455&order=2&docKey=2005214684162 파주목 객사영역의 건축특징 학술고증연구]
−
*[https://gplib.kr/poc/www/view.do?key=1903277611007&beforeUrl=grv_list&gorvKey=1904188278262&parentKey=1904188270455&order=2&docKey=1908225708101 파주목 관아터 지표조사]
−
*[https://gplib.kr/poc/www/view.do?key=1903277611007&beforeUrl=grv_list&gorvKey=&parentKey=&order=&docKey=2012081815374 2020,조선시대 파주 능행 및 파주목 행행 학술고증연구,경기대학교 사학과 연구팀]
−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1914761832908.page,조선시대 파주목 관아의 위치 추정과 공간구성 연구, 백종철]
−
===사진 자료===
===사진 자료===
<gallery widths=250px heights=200px>
<gallery widths=250px heights=200px>
115번째 줄:
114번째 줄:
File:객사배치도.jpg|파주목사 추정 배치도
File:객사배치도.jpg|파주목사 추정 배치도
</gallery>
</gallery>
+
+
===문헌 및 참고===
+
*[https://gplib.kr/poc/www/view.do?key=1903277611007&beforeUrl=grv_list&gorvKey=1904188278262&parentKey=1904188270455&order=2&docKey=2005214684162 파주목 객사영역의 건축특징 학술고증연구]
+
*[https://gplib.kr/poc/www/view.do?key=1903277611007&beforeUrl=grv_list&gorvKey=1904188278262&parentKey=1904188270455&order=2&docKey=1908225708101 파주목 관아터 지표조사]
+
*[https://gplib.kr/poc/www/view.do?key=1903277611007&beforeUrl=grv_list&gorvKey=&parentKey=&order=&docKey=2012081815374 2020,조선시대 파주 능행 및 파주목 행행 학술고증연구,경기대학교 사학과 연구팀]
+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1914761832908.page,조선시대 파주목 관아의 위치 추정과 공간구성 연구, 백종철]
----
----
123번째 줄:
128번째 줄:
'''자료 출처'''
'''자료 출처'''
----
----
−
[[분류:역사]]
+
[[분류:지역사]]
+
[[분류:지역일반]]
[[분류:파주읍]]
[[분류:파주읍]]
+
{{노출틀|파주목의 역사와 현재 |파주목, 지명, 관아지, 객사, 고증, 복원,주내, 파주군 |파주목}}
<seo title="파주목의 역사와 현재 " metakeywords="파주, 파주시, 파주위키, 파주목, 지명, 관아지, 객사, 고증, 복원" metadescription="파주목 역사" "google-site-verification="G-VN56J4JGXJ" />
<seo title="파주목의 역사와 현재 " metakeywords="파주, 파주시, 파주위키, 파주목, 지명, 관아지, 객사, 고증, 복원" metadescription="파주목 역사" "google-site-verification="G-VN56J4JGXJ"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