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번째 줄:
1번째 줄:
−
법원읍 애룡호수 도로변에 원송문학회가 설치한 갤러리이다.
+
법원읍 애룡호수 도로변에 설치된 시화전이다.
[[File:aelyong20231108_001.jpg|400px|섬네일|전시회 전경]]
[[File:aelyong20231108_001.jpg|400px|섬네일|전시회 전경]]
==개요==
==개요==
−
원송문학회는 2023.4월 [[애룡호수|애룡호수]] 진입도로 150여m 구간에 시와 그림이 있는 40여점의 작품을 전시했다.
+
대만현대시인협회와 아송문학회, 원송문학회가 공동으로 개최하고 원송문학회가 주관한다.
==작품 전시 ==
==작품 전시 ==
−
시화전 작품은 회원 11명이 그동안 습작했던 시 2~3편씩 전체 40편이 전시되고 옥외에서 장기간 전시될 수 있도록 작품을 실사로 출력하고 철제로 된 게시대를 이용했다.
+
시화전은 '누구나 시인이 될 수 있다'는 취지로 '원송문학회 시인들 시화전'이라는 이름으로 2023.4윌부터 2023.11.30일까지 운영한다.
−
전시 작품은 게시대 1개1 편씩 에 설치되고 대만 회원은 하나의 작품을 한자와 번역 한글로 나누어 2개를 설치했다.
+
문학의 거리는 전체 300m로 120편의 작품이 전시됐으며 옥외에서 장기간 전시될 수 있도록 작품을 실사로 출력하고 철제로 된 게시대를 이용했다.
−
원송문학회는 '누구나 시인이 될 수 있다'는 취지로 '원송문학회 시인들 시화전'이라는 이름으로 시화전을 열었고 이 구간을 '문화의 거리'라고 명명했다..
+
==시화 판매==
+
원송문학회에서는 애룡호수에 전시된 시화를 판매하고 있다. 시화를 신청하면 작가의 사인과 함께 시집1 권을 증정 한다. 시집은 '제1회 원송문학회 동인지', '기산리 개울물 소리', '수녀원으로 이사온 남자', '갈음옷을 입고' 등 4권중에서 한 권을 선택할 수 있다. (문의 원송문학회 031-948-8945
−
==시화판매==
−
원송문학회에서는 애룡호수에 전시된 시화를 판매하고 있다. 시화를 신청하면 작가의 사인과 함께 시집1 권을 증정 한다. 시집은 제1회 원송문학회 동인지, 기산리 개울물 소리, 수녀원으로 이사온 남자, 갈음옷을 입고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문의 원송문학회 031-948-8945
−
==작품 소개==
==작품 소개==
'''나는 무엇을 할수잇나'''
'''나는 무엇을 할수잇나'''
139번째 줄:
137번째 줄:
[[분류:갤러리]]
[[분류:갤러리]]
−
[[분류:법원읍]]
+
[[분류:법원]]
−
{{노출틀|애룡길 시화전 |애룡호수, 원송문학회, 시화전, 애룡길 | 애룡길 시화전}}
+
{{노출틀|애룡길 시화전 |애룡호수, 원송문학회, 시화전, 애룡길, 문학의 거리 | 애룡길 시화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