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9번째 줄:
149번째 줄:
* 사업방법 : 「도시개발법」 제21조에 의한 토지의 수용·사용방식
* 사업방법 : 「도시개발법」 제21조에 의한 토지의 수용·사용방식
* 사업시행자 : 파주메디컬클러스터(주) (대표자 : 고주혁, 파주시 회동길 513-1, 301호(문발동,폴리큐브)
* 사업시행자 : 파주메디컬클러스터(주) (대표자 : 고주혁, 파주시 회동길 513-1, 301호(문발동,폴리큐브)
−
[[:File:메디컬고시문.pdf|'''파주메디컬사업 시행승인 고시문''', 파주시]]
'''토지이용계획'''
'''토지이용계획'''
212번째 줄:
211번째 줄:
=== 미국 마이애미-데이드 카운티와 양해각서 체결===
=== 미국 마이애미-데이드 카운티와 양해각서 체결===
파주시는 2024.3.28일 미국 현지에서 마이애미-데이드 카운티<ref>미국 플로디디 주 소속의 군청으로 인구는 2.7백만명이다. 마이애미대학교 의과대학을 비롯하여 실베스터 종합암센터, 생명공학 및 의료분야 연구소가 밀집되어 있다</ref>와 ‘바이오 메디컬 클러스터 생태계 발전과 기술혁신을 위한 우호 협력 및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ref>파주시 보도자료 2024.4.5. 평화경제과</ref> --paki 2024년 4월 8일 (월) 10:39 (KST)
파주시는 2024.3.28일 미국 현지에서 마이애미-데이드 카운티<ref>미국 플로디디 주 소속의 군청으로 인구는 2.7백만명이다. 마이애미대학교 의과대학을 비롯하여 실베스터 종합암센터, 생명공학 및 의료분야 연구소가 밀집되어 있다</ref>와 ‘바이오 메디컬 클러스터 생태계 발전과 기술혁신을 위한 우호 협력 및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ref>파주시 보도자료 2024.4.5. 평화경제과</ref> --paki 2024년 4월 8일 (월) 10:39 (KST)
+
+
===시공사 신규 확정===
+
파주시는 2024.11.28일 메디컬클러스터 건설사로 HDC현대산업개발로 확정되고 2024.12월까지 사업실시계획에 대한 인가를 승인 받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
+
아울러 사업실시계획이 승인되면 2025년 상반기까지 토지를 확보하여 부지 조성을 시작하고 2025년멀까지 유치할 종합병원을 확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f>연합뉴스 2024.11.28.https://www.yna.co.kr/view/AKR20241128141100060 </ref>
+
+
연합뉴스에서는 건설사가 HDC현대산업개발로 명시했지만 파주시가 배포한 보도자료에는 시공 건설사가 특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배포됐다. 보도자료에 건설사를 특정하는 것이 누락된 것은 HDC현대산업개발이 언론에 노출되는 것을 희망하지 않아 제외했다고 파주시가 해명했다.<ref>파주시 보도자료 2024.11.28일 평화경제과</ref>--2024년 11월 29일 (금) 16:38 (KST)
+
*[https://paju.wiki/briefing/bbs/board.php?bo_table=sorichi&wr_id=47 시공사명 누락이 재밌다-소리치광장]
+
+
===토지 보상금 지급===
+
파주시는 2025.3.20일 보도자료를 통하여 2025.3.19일부터 파주메디컬클러스터 조성사업에 대한 1,700억 원 규모의 토지 및 지장물 보상금 지급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
+
이에따라 2025년 상반기 중에 토지 확보와 함께 부지공사를 착공하고 종합변원 유치에 대한 공모도 2025년말까지 완료한다는 계획이다.<ref>파주시 보도자료2024.3.20.평화경제과 </ref>--paki 2025년 3월 21일 (금) 13:59 (KST)
+
==여론 여담==
==여론 여담==
−
===파주시 보도자료===
+
===사업 본격 추진 보도===
−
====사업 본격 추진====
파주시는 2021년 하반기까지 파주메디컬클러스터 조성 사업에 대한 시행승인(지구지정 및 개발계획)을 받고 2022년에 실시계획승인 및 토지보상을 마칠 계획이다. 토지보상 후 공사에 착공하여 1단계는 2024년까지 완료하고 2단계는 2028년까지 완공할 수 있도록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파주시는 2021년 하반기까지 파주메디컬클러스터 조성 사업에 대한 시행승인(지구지정 및 개발계획)을 받고 2022년에 실시계획승인 및 토지보상을 마칠 계획이다. 토지보상 후 공사에 착공하여 1단계는 2024년까지 완료하고 2단계는 2028년까지 완공할 수 있도록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228번째 줄:
240번째 줄:
이밖에 연구단지 내 300억 원을 투입해 GMP 인증을 위한 시설·설비가 설치되고 의료바이오기업 유치를 위한 약 6천억원 규모의 펀드도 조성된다. < 2021/02/26 03:34>
이밖에 연구단지 내 300억 원을 투입해 GMP 인증을 위한 시설·설비가 설치되고 의료바이오기업 유치를 위한 약 6천억원 규모의 펀드도 조성된다. < 2021/02/26 03:34>
−
====조성사업 순항중====
+
===조성사업 순항중 홍보===
파주시는 협의 보상 절차가 순조롭게 진행되고 연내 착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와함께 2022.7월 마이애미 의과대학과 연구기관설립 및 인력양성에 협력한다는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말했다.
파주시는 협의 보상 절차가 순조롭게 진행되고 연내 착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와함께 2022.7월 마이애미 의과대학과 연구기관설립 및 인력양성에 협력한다는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말했다.
혁신 친화적 환경 구축을 위해서도 세계적 수준의 공유실험시설, 하이브리드 업무시설, 공유주거시설(Co-living)을 조성해, 직-주-여가 근접(Work, Live, Play) 생활권의 조성으로 단순한 연구개발단지를 넘어 진정한 혁신생태계를 이루겠다고 보도자료를 배포했다.<ref>파주시 보도자료 2023.3.16.</ref>
혁신 친화적 환경 구축을 위해서도 세계적 수준의 공유실험시설, 하이브리드 업무시설, 공유주거시설(Co-living)을 조성해, 직-주-여가 근접(Work, Live, Play) 생활권의 조성으로 단순한 연구개발단지를 넘어 진정한 혁신생태계를 이루겠다고 보도자료를 배포했다.<ref>파주시 보도자료 2023.3.16.</ref>
−
====출자지분 상향 조정====
+
===출자지분 상향 조정===
파주시는 2022.12월 [[파주메디컬클러스터#.ED.8C.8C.EC.A3.BC.EB.8F.84.EC.8B.9C.EA.B4.80.EA.B4.91.EA.B3.B5.EC.82.AC_.EC.9E.84.EC.9B.90.EC.A7.84_.EC.82.AC.ED.91.9C_.EC.A0.9C.EC.B6.9C|파주시도시관광공사 임원진 사표 제출]] 사태 발생을 초래했던 도시관광공사의 출자지분 상향 조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파주시의회의 동의절차를 진행 중 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2023년 중반기 중에 사업 투자비 조성이 완료되면 실시계획 인가와 토지보상을 추진하고 2023년 연말에 공사를 착공한다고 밝혔다.<ref>파주시 보도자료 2023.4.7. / 공영개발과</ref> --pi2023년 4월 10일 (월) 10:49 (KST)
파주시는 2022.12월 [[파주메디컬클러스터#.ED.8C.8C.EC.A3.BC.EB.8F.84.EC.8B.9C.EA.B4.80.EA.B4.91.EA.B3.B5.EC.82.AC_.EC.9E.84.EC.9B.90.EC.A7.84_.EC.82.AC.ED.91.9C_.EC.A0.9C.EC.B6.9C|파주시도시관광공사 임원진 사표 제출]] 사태 발생을 초래했던 도시관광공사의 출자지분 상향 조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파주시의회의 동의절차를 진행 중 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2023년 중반기 중에 사업 투자비 조성이 완료되면 실시계획 인가와 토지보상을 추진하고 2023년 연말에 공사를 착공한다고 밝혔다.<ref>파주시 보도자료 2023.4.7. / 공영개발과</ref> --pi2023년 4월 10일 (월) 10:49 (KST)
284번째 줄:
296번째 줄:
이에 대해 최유각 의원은 금융사는 돈 되면 하고 돈 안 되면 안 하는 것이라며, 건설사가 준공 확인에 대한 부분만 책임지기 때문에 그것에 대한 부분은 별개의 문제라고 지적했다.<ref>파주시의회 행정사무감사 2023.6.12. 속기록, https://www.pajucouncil.go.kr/minutes/xcom/web/minutesViewer.php?id=3516#an</ref>paki 2023년 7월 3일 (월) 11:16 (KST)
이에 대해 최유각 의원은 금융사는 돈 되면 하고 돈 안 되면 안 하는 것이라며, 건설사가 준공 확인에 대한 부분만 책임지기 때문에 그것에 대한 부분은 별개의 문제라고 지적했다.<ref>파주시의회 행정사무감사 2023.6.12. 속기록, https://www.pajucouncil.go.kr/minutes/xcom/web/minutesViewer.php?id=3516#an</ref>paki 2023년 7월 3일 (월) 11:16 (KST)
+
+
===파주시민을 기만하지 않기를===
+
[[File:pk메디컬클러스터기만.png|400px|섬네일|자료이미지, 파주위키]]
+
파주시가 파주메디컬클러스터 조성 사업 시공사를 확정 발표하자 파주시대 김영중 편집국장은 논단에서 '파주시민을 기만하지 않길 기대한다'라고 했다.
+
+
논설에 따르면 파주시는 보도자료를 통해 내년 말까지 종합병원 유치를 확정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는 2020년 8월 파주시가 아주대학교와 체결한 '아주대병원 건립 업무협약'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
+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용어 선택의 변화다. 시는 그동안 '대학병원급 종합병원' 또는 '상급종합병원' 유치를 강조해왔으나, 이번 발표에서는 단순히 '종합병원' 용어를 사용했다.
+
+
현재 파주시에는 파주의료원과 메디인병원 등 2개의 종합병원만이 운영되고 있어, 시민들은 인근 고양시의 동국대병원, 인제대백병원, 일산병원과 같은 수준 높은 의료서비스를 제공받기를 기대해왔기 때문이다.<ref>파주시대 2024.11.29. http://www.pajusidae.com/archives/news/20033</ref>--2024년 12월 2일 (월) 11:43 (KST)~
+
+
===시공사가 SPC 출자에 참여하지 않은 이유===
+
HDC현대산업개발이 2024.11.28일 파주메디컬클러스터 시공사로 선정되면서 SPC 출자에 참여하지 않은 이유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
+
HDC현산은 파주메디컬클러스터에서 1조349억원 규모의 공동주택 2블록 신축공사를 수주했다. 이는 회사 2024년 매출의 24.7% 수준이다. 특이한 점은 HDC현산이 시공사로 참여하면서도 SPC 출자에는 참여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
+
HDC현산이 SPC에 참여하지 않은 것은 첫 번째로 재무적 부담 최소화가 이유로 보인다. SPC 출자 시 상당한 자본금 투입이 필요하며 사업 실패 시 출자금 손실 위험이 있다. 시공사로만 참여함으로써 출자에 따른 재무적 부담을 피할 수 있다.
+
+
HDC현산은 출자 대신 시공사로서 브릿지론에 대한 신용보강을 제공했다. 시공사가 책임준공 의무와 채무인수 약정을 통해 PF 대출의 안정성을 높이는 방식이다.
+
+
사업 리스크 관리 측면도 중요하게 작용했다. 출자자는 사업 전체 리스크를 분담하지만, 시공사는 시공 계약에 따른 한정된 책임만 진다. 불확실성이 있는 대규모 프로젝트에서 시공사로만 참여하는 것이 리스크 관리에 유리하다.
+
+
수익성 확보 전략도 고려됐다. 출자보다 1조원 이상의 대규모 시공 계약으로 안정적인 매출을 확보하는 것이 HDC현산에 더 유리한 전략일 수 있다. 시공사로서의 역할만으로도 회사 매출의 24.7%에 해당하는 수익을 확보할 수 있다.
+
+
이러한 이유로 HDC현산은 SPC 출자 대신 시공사 역할과 신용보강 제공을 통해 파주메디컬클러스터 사업에 참여하는 전략을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paki 2025년 3월 21일 (금) 14:15 (KST)
==관련 정보==
==관련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