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번째 줄:
1번째 줄:
광탄면 출신으로 3.1운동 때 광탄과 봉일천에서 만세 운동을 주도했다.
광탄면 출신으로 3.1운동 때 광탄과 봉일천에서 만세 운동을 주도했다.
+
[[File:pk심상각.jpg|200px|섬네일|심상각]]
==개요==
==개요==
−
심상각(沈相恪)은 1988.12.10일 김포에서 태어났고 본관은 청송 호는 심정택의 아들로 태어났다. 본적지는 광탄면 신산리 58번지이고 1963.9.7일 사망했다. 광탄면 신산리에 생가가 있으며 현재는 손자인 심재만이 거주하고 있다
+
심상각(沈相恪)은 1888.12.10일 김포에서 태어났고 본관은 청송 호는 우산(又山)으로 심정택의 아들로 태어났다. 본적지는 광탄면 신산리 58번지이고 1963.9.7일 사망했다. 광탄면 신산리에 생가가 있으며 현재는 손자인 심재만이 거주하고 있다
심상각은 만세운동 후 상해로 망명하여 상해임시정부에서 활동했다. 약 10년 후 국내로 돌아와 신간회에 가입하고 광탄면에 광탄보통학교를 설립하고 교장을 역임했다..
심상각은 만세운동 후 상해로 망명하여 상해임시정부에서 활동했다. 약 10년 후 국내로 돌아와 신간회에 가입하고 광탄면에 광탄보통학교를 설립하고 교장을 역임했다..
9번째 줄:
10번째 줄:
==생애 기록==
==생애 기록==
−
===광탄보통학교 설립===
−
상해 망명후 1934년 귀국하여 광탄사립보통학교 설립하여 교장으로 활동하면서 학생을 배출했다. <ref>독립유공자 지정 신청서, 확인서 작성 : 문산여자종합고등학교 교장 김민재 </ref>
−
−
===신산초교 부지 기증===
−
광탄면 신산초등학교 부지 중 일부를 학교용지를 기증 했다. <ref>독립유공자 지정 신청서 , 확인서 작성 : 1988년 파주군 교육청 </ref>
−
===토지소유===
===토지소유===
1913년 조선총독부에서 조사한 토지대장에 따르면 광탄면 신산리 지역에만 심상각 개인 또는 심경섭과 공유지분으로 전답 17,238평을 소유하고 있었다. <ref>국가기록원 지적아카이브, https://theme.archives.go.kr/next/acreage/viewCadastreDetail.do?packid=0000087988&docid=&mngno=CJD0002438&type=10&want=1&formType=keyword&rtURL=%2facreage%2flistKeywordTotalSearch.do%3fkeyword%3d%25EA%25B4%2591%25ED%2583%2584%25EB%25A9%25B4%2b%25EC%258B%25A0%25EC%2582%25B0%25EB%25A6%25AC^imageField.x%3d0^imageField.y%3d0^tp_id%3d12^tp_id%3d13^tp_id%3d10^tp_id%3d11^start_year%3d^end_year%3d </ref>
1913년 조선총독부에서 조사한 토지대장에 따르면 광탄면 신산리 지역에만 심상각 개인 또는 심경섭과 공유지분으로 전답 17,238평을 소유하고 있었다. <ref>국가기록원 지적아카이브, https://theme.archives.go.kr/next/acreage/viewCadastreDetail.do?packid=0000087988&docid=&mngno=CJD0002438&type=10&want=1&formType=keyword&rtURL=%2facreage%2flistKeywordTotalSearch.do%3fkeyword%3d%25EA%25B4%2591%25ED%2583%2584%25EB%25A9%25B4%2b%25EC%258B%25A0%25EC%2582%25B0%25EB%25A6%25AC^imageField.x%3d0^imageField.y%3d0^tp_id%3d12^tp_id%3d13^tp_id%3d10^tp_id%3d11^start_year%3d^end_year%3d </ref>
−
+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 mw-collapsed" style="width:700px">
+
토지소유 목록 보기
+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
*신산리 144 전 304평 / 심상각, 심경섭 공유
*신산리 144 전 304평 / 심상각, 심경섭 공유
*신산리 147 답 546평 / 심상각, 심경섭 공유
*신산리 147 답 546평 / 심상각, 심경섭 공유
50번째 줄:
47번째 줄:
*신산리 121 전 331평 / 심상각 단독 소유
*신산리 121 전 331평 / 심상각 단독 소유
*신산리 159 답 869평 / 심상각 단독 소유
*신산리 159 답 869평 / 심상각 단독 소유
+
</div>
+
</div>
===임야 대부 취득===
===임야 대부 취득===
−
1917년(대정6년)에는 광탄면 신산리 시곡 <ref> 계곡이라는 말</ref> 33번지의 산지 0.4704정 (1,400여평,4,600㎥ )을 조선총독부로부터 대부를 받았다. <ref> 1917.6.2일(대정6년) 조선총독부관보 </ref>
+
[[File:심상각임야대부.JPG|400px|섬네일|조선총독부 관보]]
+
1917년(대정6년)에는 광탄면 신산리 시곡 <ref> 계곡이라는 말</ref> 33번지의 산지 0.4704정 (1,400여평,4,600㎥ )을 조선총독부로부터 대부 받았다. <ref> 1917.6.2일(대정6년) 조선총독부관보 </ref>
−
대부 토지는 현재 신산초등학교 인근 산지로 보인다.
+
대부 토지는 현재 신산초등학교 인근 산지로 보인다.
===1919년 만세운동===
===1919년 만세운동===
73번째 줄:
73번째 줄:
===상해 망명===
===상해 망명===
1919년 만세시위 운동후 심상익은 박찬익과 함께 상해로 망명하였다가 1934.4월에 귀국했다. <ref>독립유공자 지정 신청시 확인서, 확인자 1987년 윤보선 </ref>
1919년 만세시위 운동후 심상익은 박찬익과 함께 상해로 망명하였다가 1934.4월에 귀국했다. <ref>독립유공자 지정 신청시 확인서, 확인자 1987년 윤보선 </ref>
+
+
===광탄 사립보통학교 설립===
+
상해 망명후 1934년 귀국하여 광탄사립보통학교 설립하여 교장을 역임했다. <ref>독립유공자 지정 신청서, 확인서 작성 : 문산여자종합고등학교 교장 김민재 </ref>
+
+
===신산초교 부지 기증===
+
광탄면 신산초등학교<ref>신산보통학교 1926.4.7일 개교</ref> 부지 중 일부를 학교용지를 기증 했다. <ref>독립유공자 지정 신청서 , 확인서 작성 : 1988년 파주군 교육청 </ref>
===봉루주조 양조장 운영===
===봉루주조 양조장 운영===
+
[[File:봉루주조.jpg|400px|섬네일|봉루주조 등록 조선총독부 관보]]
상해 망명 귀국후 1937.10.15일 당시 주내면 파주리 429-5번지에 봉루주조 (鳳棲酒造 合名)회사를 설립 했다. <ref>조선은행회사조합요록(1939년판)</ref>. 이 회사는 합명회사로서 심상각은 대표사원으로 자본금 2만원 중 5천원, 사원인 유재형 (柳在衡), 안병철(安秉哲), 이정하(李貞夏)가 각각 5천원씩 출자했다.
상해 망명 귀국후 1937.10.15일 당시 주내면 파주리 429-5번지에 봉루주조 (鳳棲酒造 合名)회사를 설립 했다. <ref>조선은행회사조합요록(1939년판)</ref>. 이 회사는 합명회사로서 심상각은 대표사원으로 자본금 2만원 중 5천원, 사원인 유재형 (柳在衡), 안병철(安秉哲), 이정하(李貞夏)가 각각 5천원씩 출자했다.
82번째 줄:
89번째 줄:
===독립유공자 지정===
===독립유공자 지정===
+
[[File:훈장증.jpg|200px|섬네일|훈장증]]
국가보훈부는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고 독립유공자로 지정했다.
국가보훈부는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고 독립유공자로 지정했다.
94번째 줄:
102번째 줄: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1977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했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1977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했다.
−
====공적조서 ====
====공적조서 ====
109번째 줄:
116번째 줄:
*수형년수 : -
*수형년수 : -
*복역년수 : -
*복역년수 : -
−
*추천훈격 : 애국장 사정훈격 애국장
+
*추천훈격 : 애국장
+
*사정훈격 : 애국장
*공적개요
*공적개요
**1919.3.27 坡州郡 廣灘面에서 5,000여명의 시위군중의 선두에서 시위하고 中國 上海로 渡航하여 臨政要人인 同鄕의 朴贊翊의 협조를 받으며 臨政에 참여하여 요원으로 활동하고 申圭植이 조직한 同濟社에 가입하여 上海方面의 독립운동의 중추적 역할을 전개하는 등 15년간에 걸친 활동공적이 인정되므로 建國勳章 愛國章에 해당하는 분으로 사료됨
**1919.3.27 坡州郡 廣灘面에서 5,000여명의 시위군중의 선두에서 시위하고 中國 上海로 渡航하여 臨政要人인 同鄕의 朴贊翊의 협조를 받으며 臨政에 참여하여 요원으로 활동하고 申圭植이 조직한 同濟社에 가입하여 上海方面의 독립운동의 중추적 역할을 전개하는 등 15년간에 걸친 활동공적이 인정되므로 建國勳章 愛國章에 해당하는 분으로 사료됨
+
+
==여론 여담==
+
===광탄 사립보통학교 설립===
+
심상각 지사의 독립유공자 지정 신청 시 문산여자종합고등학교 김민태 교장은 본인이 사립 광탄보통학교 5학년을 수료하였다는 확인서를 발급했다. 이와 함께 확인서에는 파주군에서 기미 독립 만세 운동을 주도하고 임시정부의 요원으로 활약하다가 귀국하여 사립 광탄보통학교를 설립하고 교장을 역임했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
+
1917년생인 김민태 전 문산여자종합고등학교장은 1924년과 1925년에 사립 광탄보통학교를 다니다가 당시 주내읍에 있는 파주초등학교에서 졸업했다고 최근에 말했다.
+
+
김민태 전 교장이 독립유공자 지정 신청 시 본인이 광탄 사립보통학교 5학년을 수료 했다는 것은 착오로 보이며, 당시 신산보통학교는 1926년 1월 22일 4년제로 인가되고 1926년 4월 7일 정식으로 개교됐다. 따라서 광탄 사립보통학교는 폐교된 것으로 보인다.
+
+
심상각이 1919년 만세 시위 후 상해로 망명하고 1934년에 귀국하였으므로 광탄 사립보통학교는 1919년 이전에 설립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
+
설립 시기는 1911년 제1차 조선교육령이 발표되면서 4년제 학제가 도입 된 것으로 보아 광탄 사립보통학교는 1911년 이후부터 1919년 이전에 설립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
+
학교와 관련하여 1921년 6월 25일자 매일신보 기사의 "7월부터 학계를 설립하여 교육자금에 충당하기로 결정했다'라는 내용이 학교를 설립한다는 취지인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
+
참고로 당시 신문 기사에서는 "파주군 광탄면에서 4월 1일부터 융화회를 설립한 후 교육부, 서무부, 운동부를 설치했다. 면내 서당 개량을 위시하여 일반 면민의 산업에 이르기까지 대개혁을 할 것이다. 7월부터 학계를 설립하여 교육 자금에 충당하기로 결정했다."라고 보도했다.
+
+
지금까지 광탄 사립보통학교에 관한 기록이 별도로 발견되지 않아 설립과 운영 과정을 정확하게 알 수는 없다. 심상각이 1919년 독립만세운동 후 망명하고 1934년에 귀국한 것으로 보아 광탄 사립보통학교의 설립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paki 2024년 6월 1일 (토) 19:20 (KST)
+
+
==자료 사진==
+
<gallery>
+
File:임시정부정파별명단_2.jpg |임시정부 명단
+
File:광탄보통학교.jpg | 광탄사립보통학교 설립
+
File:심상각초교부지기증.jpg | 신산초교 부지 기증
+
File:망명귀국.jpg | 동제사 회원
+
File:박찬익확인.jpg | 독립활동 확인
+
</gallery>
+
*<ref>자료 제공 : 심상각의 손자 심재만</ref>
+
+
==관련 정보==
+
===링크 모음===
+
*[https://fridge.paju.wiki/books/8dd48/page/c51ce 광탄의 독립지사 심상각의 재조명-이기상]
+
+
'''가볼만한곳'''
+
<br>
+
----
+
+
+
'''더보기'''
+
<br>
+
----
+
+
<categorytree mode="pages" >지역사</categorytree >
+
<br>
+
+
[[분류:지역사]]
+
[[분류:광탄]]
+
{{노출틀|심상각 독립운동가 | 독립운동가, 광탄, 심상각, 박찬익 | 심싱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