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2,480 바이트 추가됨 ,  2025년 3월 31일 (월)
잔글
63번째 줄: 63번째 줄:     
===시민추진단 발대식 및 강연회===
 
===시민추진단 발대식 및 강연회===
파주시는 오는 2023.11.24(금) 오전 10시 30분 시민회관 소공연장에서 ‘파주 평화경제특구 비전과 전략’이라는 주제로 평화경제특구 유치 시민추진단 발대식과 강연회를 개최했다.
+
파주시는 2023.11.24(금) 오전 10시 30분 시민회관 소공연장에서 ‘파주 평화경제특구 비전과 전략’이라는 주제로 평화경제특구 유치 시민추진단 발대식과 강연회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평화경제특구의 비전과 전략을 공유하고 시민들의 참여와 관심을 높이기 위해 마련됐다. 발대식에서는 시민추진단 임원 위촉식과 함께 평화경제특구 유치 의지를 다지는 결의대회가 진행됐다.
 
이번 행사는 평화경제특구의 비전과 전략을 공유하고 시민들의 참여와 관심을 높이기 위해 마련됐다. 발대식에서는 시민추진단 임원 위촉식과 함께 평화경제특구 유치 의지를 다지는 결의대회가 진행됐다.
    
강연회에서는 현대경제연구원 통일경제센터장 이해정 박사는 평화경제특구의 경제적 효과와 파주 지역의 발전 방향에 대해 강연했다.<ref>파주시 보도자료 2023.11.24. 자치협력과</ref>
 
강연회에서는 현대경제연구원 통일경제센터장 이해정 박사는 평화경제특구의 경제적 효과와 파주 지역의 발전 방향에 대해 강연했다.<ref>파주시 보도자료 2023.11.24. 자치협력과</ref>
 +
 +
===연구 용역 추진===
 +
파주시는 2023.12.26일 평화경제특구 연구용역 수행기관을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으로 선정하고 특화된 특구 조성 방안을 구상하기로 했다.
 +
 +
이번 구상에는 ▲최적의 입지 규모 검토 ▲유치산업 특화 전략 등 파주 평화경제특구 조성을 위한 구체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며, 용역 결과에 따라 ’파주시 평화경제특구 자체 구상(안)’을 수립하여 추후 진행될 통일부, 국토부, 경기도 등 상급 기관의 평화경제특구 지정 절차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다.<ref>파주시 보도자료 2023.12.27. 자치협력과</ref>
 +
 +
===연구용역 착수 보고회 개최===
 +
파주시는 2024.2.16일 파주시 관련부서를 대상으로 비공개 착수 보고회를 가졌으며 2024.3.12일 파주시의회 의장을 비롯한 의원이 참석한 가운데 추가로 추진상황 보고회를 가졌다.<ref>파주시 보도자료 2024.2.12. 평화경제과</ref> 
 +
 +
===추진방향 설명회 개최===
 +
파주시는 2024.5.8일 파주시청 대회의실에서 김경일 파주시장, 시민추진단 단장인 김진기 부시장과 추진단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설명회를 개최했다.
 +
 +
설명회에는 연구용역 수행책임자인 서울대학교 이영성 교수가 연구용역 착수 단계에서의 추진 방향에 대해 설명하고 시민추진단의 의견을 들었다.<ref>파주시 보도자료 2024.5.9. 평화경제과</ref>--paki 2024년 5월 9일 (목) 11:14 (KST)
 +
 +
===용역 최종 보고회 개최===
 +
파주시는 2025.3.25일 '파주시 평화경제특구 조성 구체화 방안 마련 연구용역' 최종보고를 마쳤다. 이날 보고회에는 김경일 시장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했으며,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이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
 +
평화경제특구는 2023년 제정된 「평화경제특별구역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법률」에 근거해 접경지역에 대규모 산업단지, 관광지, 도시개발 등 복합 개발사업을 추진할 수 있게 됐다.
 +
 +
파주시는 이를 통해 수도권이면서 접경지역으로서 받던 각종 규제를 타개하고, LGD 등 기존 산업기반시설과 철도·도로 교통망을 활용해 첨단산업 생태계 및 남북협력 거점을 조성할 계획이다.<ref>파주시 보도자료 2025.3.26. 평화경제과</ref>--paki 2025년 3월 31일 (월) 11:30 (KST)
    
==여론 여담==
 
==여론 여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