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번째 줄:
45번째 줄:
성시를 이루었던 신화리장은 1872년 작성된「교하군지도(交河郡地圖」에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순조 당시인 19세기 말까지 상업 활동이 유지된 것으로 보인다.
성시를 이루었던 신화리장은 1872년 작성된「교하군지도(交河郡地圖」에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순조 당시인 19세기 말까지 상업 활동이 유지된 것으로 보인다.
−
원래 쇠곳나루(金串津)보다 상류에 금성진의 포구가 있어 상선이 정박하였지만 매년 홍수로 하상이 높아지면서 새꽃마을 부근의 포구로 이전 됐다.
+
원래 쇠곳나루(金串津)보다 상류에 금성진 포구가 있어 상선이 정박하였지만 매년 홍수로 하상이 높아지면서 새꽃마을 부근의 포구로 이전 됐다.
===금촌통일시장===
===금촌통일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