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번째 줄:
48번째 줄:
===금촌통일시장===
===금촌통일시장===
−
금촌의 시장은 1906년 4월 3일 경의선 개통과 함께 금촌역(金村釋) 인근에 새로 개설된 시장으로 일제강점기부터 공설 정기시장이 됐다.
+
금촌의 시장은 1906년 4월 3일 경의선 개통과 함께 금촌역(金村釋) 인근에 1,6일장으로 개설되었고 일제강점기부터 공설 정기시장이 됐다.
−
한국전쟁이 휴전이 되고 봉일천에 있던 가축시장이 금촌으로 옮겨와 금촌시장은 가축시장이 같이 열리는 병설의 정기시장이 되었다.
+
한국전쟁후 봉일천에 있던 가축시장이 금촌으로 옮겨와 가축시장이 같이 열리는 병설의 정기시장이 되었으며 금촌 지역뿐만 아니라 교하,탄현,월롱,조리 등 인근 지역에서도 이용했다.
−
−
금촌시장은 1,6일장으로 노점상이 모여들면서 개장시부터 금촌 지역뿐만 아니라 교하,탄현,월롱,조리 등 인근 지역에서도 이용했다.
금촌 시장에는 금촌전통시장과 명동로시장, 문화로시장으로 나누어 운영되다가 2015년 중소기업형 문화관광형 시장으로 육성하기 위해 '금촌통일시장'으로 통합됐다.
금촌 시장에는 금촌전통시장과 명동로시장, 문화로시장으로 나누어 운영되다가 2015년 중소기업형 문화관광형 시장으로 육성하기 위해 '금촌통일시장'으로 통합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