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1,055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8월 18일 (목) 14:29
편집 요약 없음
59번째 줄: 59번째 줄:  
동헌 앞 큰 문루가 있었는데  정면은 청각루, 후면은 은약루라는 현판이 쓰여 있었다. 이 문 은 개폐문으로 4곳에서 출입을 동시에 할 수 있었고 문 위 에는 한길이 넘는 큰 북을 달아 시각을 알렸다고 한다.  현재는 사라진 문 자리에는 동헌의 삼문이 있었다고 하여 삼문거리라고 불렸다.
 
동헌 앞 큰 문루가 있었는데  정면은 청각루, 후면은 은약루라는 현판이 쓰여 있었다. 이 문 은 개폐문으로 4곳에서 출입을 동시에 할 수 있었고 문 위 에는 한길이 넘는 큰 북을 달아 시각을 알렸다고 한다.  현재는 사라진 문 자리에는 동헌의 삼문이 있었다고 하여 삼문거리라고 불렸다.
   −
조선시대의 객사는 지역의  대표적인 건물로 고을 중심에 넓은 부지에 세워졌다. 객사는 왕을  상징하는 전패가 있는 정청과 왕이 능행을 하고 머무는 행궁 역할의 숙소로 나누어져 있다. 조선왕조실록 기록에 의하면 세조6년(1460)부터 고종9년(1872)까지 파주목 관아에서 16번 유숙한 것으로 나타난다.
+
조선시대의 객사는 지역의  대표적인 건물로 고을 중심에 넓은 부지에 세워졌다. 객사는 왕을  상징하는 전패가 있는 정청과 좌우에 동익헌,서익헌이 있다. 왕이 능행을 하고 머무는 행궁 역할을 하던 파평관은 객사 북쪽에 위치하고 봉서당(鳳棲堂) 건물이 함께 있었다..
   −
객사는 왕의 유숙뿐만 아니라 외국 사신이나 파견된 중앙 관리가 숙박하는 공간으로도 이용됐고 파주목의 객사를 '파평관'으로 부르기도 했다. 객사에서는 목사나 관원들이 모여 매월 초일과 보름날에 궁궐을 향한 망궐례 의식을 가졌다.
+
 
 +
조선왕조실록 기록에 의하면 세조6년(1460)부터 고종9년(1872)까지 파주목 관아에서 16번 유숙한 것으로 나타난다.
 +
객사는 왕의 유숙뿐만 아니라 외국 사신이나 파견된 중앙 관리가 숙박하는 공간으로도 이용됐고 매월 초일과 보름날에  목사나 관원들이 모여 궁궐을 향한 망궐례 의식을 가졌다.
    
==관아 시설의 변천 ==
 
==관아 시설의 변천 ==
89번째 줄: 91번째 줄:  
===파주 지명 탄생일 환산===   
 
===파주 지명 탄생일 환산===   
 
'파주' 지명이 처음 만들어 진 세조5년 10월2일은 음력으로 1459.10.2일이다. 이 날자를 양력으로 환산하면 1459.10.27일(토)으로 2022.10.27일은 '파주'지명 탄생 563주년이 된다.
 
'파주' 지명이 처음 만들어 진 세조5년 10월2일은 음력으로 1459.10.2일이다. 이 날자를 양력으로 환산하면 1459.10.27일(토)으로 2022.10.27일은 '파주'지명 탄생 563주년이 된다.
 +
 +
===동헌앞 문루의 변신===
 +
1984년 발간된 '파주군사' 상권에 의하면 동헌 앞  문루  정면 입구에는 '청각루(聽角樓)', 반대편에는 은약루(隱若樓)라는 현판이 있었다고 한다.
 +
 +
조선시대 관헌 입구에는 대부분 누각이 있었지만 1938년 당시 송석하가 촬영한 '청각루' 현판이 달린 문루 사진 설명에는 '주내양반집 누각'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
 +
촬영된 문루 사진 안쪽의 가옥 사진에도 '주내양반집 대문'이라고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한일합방후 동헌 건물이 개인이나 유력자의 소유로 이전된 것으로 추정된다.
 +
 +
[[File:1938년주내양반집누각-사진송석하.png|430px|1938년 주내 양반집 누각, 사진 송석하]]
 +
[[File:1938년주내양반집대문-사진송석하.png|430px|1938년 주내 양반집 대문, 사진 송석하]]
 +
<br>
 +
1938년 주내 양반집 누각, 사진 송석하 / 1938년 주내 양반집 대문, 사진 송석하
 +
</gallery>
 +
 +
    
===문헌 및 참고===
 
===문헌 및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