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7 바이트 제거됨 ,  2024년 1월 28일 (일)
잔글
15번째 줄: 15번째 줄:  
1952년 10월말경 미1군단 사령관은 2건설공병단 소속 제84건설공병대에게 홍수시기를 감안해 1953년 7월까지 교량을 완공하라고 지시했다. 이 부대는 한국전쟁 초기부터 임진강에 부교 등의 작전교량을 설치하던 부대로  ‘임진강의 정복자’(The Conquerors of theImjin)라고 불렸다.
 
1952년 10월말경 미1군단 사령관은 2건설공병단 소속 제84건설공병대에게 홍수시기를 감안해 1953년 7월까지 교량을 완공하라고 지시했다. 이 부대는 한국전쟁 초기부터 임진강에 부교 등의 작전교량을 설치하던 부대로  ‘임진강의 정복자’(The Conquerors of theImjin)라고 불렸다.
   −
84건설공병대장은 콘크리트 교각이 기반암에 고정되어여만 임진강의 극심한 홍수와 결빙을 견디고 일 년 내내 활용될 수 있다고 판단했다. 암반 상태를 분석하기 위해 1952.11.1일 시험용 파일을 박고 수집정보를 분석하기 시작했다. 제2건설공병대에서 1959.11.9일에 교량 설계도가 도착했지만 지끔까지 공병대에서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방식이었다. 이 교량은 파평면 장파리에서 진동면 용상리를 연결하고 연장 328m, 교량폭 7m로 교각 높이다. 건물 10층 높이에 달하는 45m이고 8개의 교각을 설치하는 공사였다.  
+
84건설공병대장은 콘크리트 교각이 기반암에 고정되어여만 임진강의 극심한 홍수와 결빙을 견디고 일 년 내내 활용될 수 있다고 판단했다. 암반 상태를 분석하기 위해 1952.11.1일 시험용 파일을 박고 수집정보를 분석하기 시작했다. 제2건설공병대에서 1959.11.9일에 교량 설계도가 도착했지만 지끔까지 공병대에서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방식이었다. 이 교량은 파평면 장파리에서 진동면 용상리를 연결하고 연장 328m, 교량폭 7m이다. 교각 높이는 건물 10층 정도인 45m이고 8개의 교각을 설치하는 공사였다.  
    
이 공사는 최소한 1년 이상 소요되는 규모이지만 이 교량을 1953년 7월말까지 완공하는 것이 작전명령이다. 교량 완공목표인 7월까지는 동절기를 제외하고 5개월 정도의 기간 밖에 남지 않았다. 공병대장은 한국의 겨울이 끝나는 3월까지 기다릴 수 없었다. 공기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 11월부터 12월말까지 장비와 물자를 조립하고, 정비소, 목수 작업장, 물자 보관 건물과 야적장을 만들었다.
 
이 공사는 최소한 1년 이상 소요되는 규모이지만 이 교량을 1953년 7월말까지 완공하는 것이 작전명령이다. 교량 완공목표인 7월까지는 동절기를 제외하고 5개월 정도의 기간 밖에 남지 않았다. 공병대장은 한국의 겨울이 끝나는 3월까지 기다릴 수 없었다. 공기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 11월부터 12월말까지 장비와 물자를 조립하고, 정비소, 목수 작업장, 물자 보관 건물과 야적장을 만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