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1,413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3월 8일 (금)
589번째 줄: 589번째 줄:  
로 보이며『신증동국여지승람』(파주)에는 임진도(臨津渡)의 하류를 낙하도(渡)라 하였다.
 
로 보이며『신증동국여지승람』(파주)에는 임진도(臨津渡)의 하류를 낙하도(渡)라 하였다.
   −
===탄포천(炭浦川)===
+
===탄포천 炭浦川===
 
월롱면 덕은리 월롱산에서 발원하여 탄현면 오금리의 벌판(염습지)을 지나 임진강으로 유입된다. 현재는 공식적으로 만우천이라고하며  염습지는 바닷물이 들어 오는 곳을 말한다.
 
월롱면 덕은리 월롱산에서 발원하여 탄현면 오금리의 벌판(염습지)을 지나 임진강으로 유입된다. 현재는 공식적으로 만우천이라고하며  염습지는 바닷물이 들어 오는 곳을 말한다.
    
===방천===
 
===방천===
 
교하와 탄현지역의 공릉천 하류지역을 방천(防川)이라고 불렀다.
 
교하와 탄현지역의 공릉천 하류지역을 방천(防川)이라고 불렀다.
 +
 +
===배내 梨川===
 +
법원읍 동문리의 광평산과 사방산 사이에서 발원하여 구릉지 사이로 흐르다가 문산읍 문산리 에서 문산천으로 유입된다. 한자로는 이천으로 표기한다.
 +
 +
===법원천 法院川===
 +
법원읍 갈곡리 노고산에서 발원하여 서쪽으로 흘러 법원리와 가야리를 거쳐 남쪽으로 꺾여 파 주읍 연풍리에서 연풍천으로 합류한다.
 +
 +
===연풍천 延豊川===
 +
법원읍 삼방리의 자웅산 외비고개에서 발원하여 좁은 계곡을 흐르다가 연풍저수지를 이루고 파주읍 연풍리·파주리·부곡리 · 백석리 등을 지나면서 넓은 충적지 위를 흘러 봉암리에서 문 산천으로 흘러든다
 +
 +
===늘노천 訥老川===
 +
법원읍 오현리의 노고산 스르레미에서 발원하여 적성면과 파평면 덕천리 금파리를 지나 임진 강으로 유입되며 길이는 21㎞에 달한다. 거의 대부분의 물이 말라 있어 마른개울이라고도 한다.
    
===구연강===
 
===구연강===
 
조선시대에 경기도 적성지방(지금의 파주, 적성일대)에서 부르던 명칭의 하나이다.『신증동국여지승람』(적성에 “구연강은 현의 동쪽 9리 지점에 있다”라고 하였다. 『대동여지도』에는 구미연(仇尾淵)으로 나온다. 구연강이나 구미연의 유래는 확실하지 않다.
 
조선시대에 경기도 적성지방(지금의 파주, 적성일대)에서 부르던 명칭의 하나이다.『신증동국여지승람』(적성에 “구연강은 현의 동쪽 9리 지점에 있다”라고 하였다. 『대동여지도』에는 구미연(仇尾淵)으로 나온다. 구연강이나 구미연의 유래는 확실하지 않다.
    +
===객현천 客峴川===
 +
적성면 객현리의 감악산 서북사면에서 발원하여 율포리에서 임진강으로 유입된다. 유역 전역에 걸쳐 널은 들판이 있다.
 +
 +
===어유지천 漁遊池川===
 +
연천군 전곡읍 간파리에서 발원하여 북쪽으로 흐르다가 적성면 적암리를 지나면서 서북쪽으 로 방향을 바꿔 어유지리에서 임진강으로 유입된다.
   −
===멸왜천===
+
===멸왜천 滅倭川===
멸왜천(滅倭川) 조선시대 경기도 파주시 파평면 일대에서 부르던 임진강 명칭의 하나이다. 임진왜란 당시 우리 군사들이 임진강에 방어선을 폈으나 왜적의 계략에 빠져서 크게 패하였으므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현지에서는 방언으로 ‘메내깔’이라 부른다고도 한다.
+
조선시대 경기도 파주시 파평면 일대에서 부르던 임진강 명칭의 하나이다. 임진왜란 당시 우리 군사들이 임진강에 방어선을 폈으나 왜적의 계략에 빠져서 크게 패하였으므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현지에서는 방언으로 ‘메내깔’이라 부른다고도 한다.
    
===술탄 戌灘===
 
===술탄 戌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