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7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7월 25일 (목)
잔글
편집 요약 없음
2번째 줄: 2번째 줄:  
[[File:교하현고지도.jpg|400px|섬네일|교하현 고지도]]
 
[[File:교하현고지도.jpg|400px|섬네일|교하현 고지도]]
   −
==당시 교하 여건==
+
==지역 여건==
 
[[운정/교하·운정_지명_갈등|교하 지역]]은 백제때 ' ‘천정구(泉井口)’로 불렀고 통일신라 757년 행정구역 개편때 '교하군'으로 개명됐다. 1612년 교하로 천도를 상소할 당시는 현재의 교하지역과 탄현·월롱·금촌 일부가 교하군의 관할 구역이다.
 
[[운정/교하·운정_지명_갈등|교하 지역]]은 백제때 ' ‘천정구(泉井口)’로 불렀고 통일신라 757년 행정구역 개편때 '교하군'으로 개명됐다. 1612년 교하로 천도를 상소할 당시는 현재의 교하지역과 탄현·월롱·금촌 일부가 교하군의 관할 구역이다.
   13번째 줄: 13번째 줄:  
이와 함께 한강과 임진강이 위치해 용절이 웅위하고 내맥이 있어 그동안  왕의 장지로 정하지 않은 것이 이상하다고 보고했다.
 
이와 함께 한강과 임진강이 위치해 용절이 웅위하고 내맥이 있어 그동안  왕의 장지로 정하지 않은 것이 이상하다고 보고했다.
   −
==천도론 배경과 과정==
+
==배경과 과정==
 +
 
 
광해군은 임진왜란 이후 1608년 왕위에 올랐다. 임진왜란의 뒷수습과 민생 안정을 위해 남인 이원익을 영의정에 등용하는 등 새로운 정책을 추진했다. 그러나 왕위 옹립에 공이 컸던 대북파의 반발로 당쟁이 심해진 시기이다.  
 
광해군은 임진왜란 이후 1608년 왕위에 올랐다. 임진왜란의 뒷수습과 민생 안정을 위해 남인 이원익을 영의정에 등용하는 등 새로운 정책을 추진했다. 그러나 왕위 옹립에 공이 컸던 대북파의 반발로 당쟁이 심해진 시기이다.  
   28번째 줄: 29번째 줄:  
왕의 비밀 전교를 전해 들은 신하들은 당파를 초월해 반대했고 이의신을 처벌해야 한다고 3년간 100여 차례 상소했다. 이에 광해군은 이의신이 국가를 위해 이궁을 창건하자는 뜻이라고 한 발 물러 섰지만 결국 교하 천도는 무산됐다.<ref>1617년 음력 4월20일 1번기사 참조</ref>
 
왕의 비밀 전교를 전해 들은 신하들은 당파를 초월해 반대했고 이의신을 처벌해야 한다고 3년간 100여 차례 상소했다. 이에 광해군은 이의신이 국가를 위해 이궁을 창건하자는 뜻이라고 한 발 물러 섰지만 결국 교하 천도는 무산됐다.<ref>1617년 음력 4월20일 1번기사 참조</ref>
   −
==교하 천도론의 평가==
+
==여론 여담==
 +
===교하 천도론의 정치성===
 
조원석(서경대학교 경영문화대학원 )은 논문에서 광해군은 강력한 왕권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당시 정씨 왕조설에 대한 소문을 일소하고 임진왜란의 악몽에서 벗어 나는 방안으로 천도를 추진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조원석(서경대학교 경영문화대학원 )은 논문에서 광해군은 강력한 왕권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당시 정씨 왕조설에 대한 소문을 일소하고 임진왜란의 악몽에서 벗어 나는 방안으로 천도를 추진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