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 용미리 마애이불입상(坡州 龍尾里 磨崖二佛立像)은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용미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마애불이다.

1963년 1월 21일 대한민국의 국보 제93호 파주용미리석불입상(坡州龍尾里石佛立像)으로 지정되었다가, 2010년 8월 25일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1]

용미리 석불입상

개요

마애이불입상은 광탄면 용미리 장지산(長芝山)에 위치한 용암사(龍岩寺) 경내에 위치하여 있다. 고려시대에 제작된 이 석불입상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 된 쌍미륵 석불입상으로 천연바위벽을 이용하여 제작했다. 거대한 자연석을 그대로 이용하고 그 위에 목, 얼굴, 갓 등을 따로 만들어 얹어 놓았다.

왼쪽의 둥근갓을 쓴 불상(원립불, 圓笠佛)은 목은 원통형으로 당당한 가슴을 드러냈으며 몸체는 법의(法衣)로 감싸고 있는데 양쪽으로 내려진 옷자락이 섬세 하게 표현했다. 오른쪽의 네모난 갓을 쓴 불상(방립불, 方笠佛)은 합장한 손 모양만 다를 뿐 조각된 수법은 왼쪽의 불상과 비슷하다.

전설에 의하면 원립불은 남상(男像), 방립불은 여상(女像)으로 전해 진다. 고려 시대 선종(宣宗)이 자식이 없어 원신궁주(元信宮主)까지 맞이했으나 여전히 왕자를 낳지 못했다. 어느날 밤 궁주의 꿈에 두 도승이 나 타나 “우리는 장지산(長芝山) 남쪽기슭에 있 는 바위 틈에 사는 사람들인데 배가 고프니 먹을 것을 달라”하고 사라져 버렸다 한다.

꿈에 서 깬 궁주가 하도 이상하여 왕께 고하자 왕은 바로 장지산으로 사람을 보냈다. 장지산에 다녀온 사람이 왕께 고하기를 “장지산 아래 에 큰 바위 두 개가 나란히 서있습니다” 하였다. 이 얘기를 들은 왕은 바로 장지산 바위에 두 불상을 새기게 하고 절을 지었고, 절이 지어진 후 원신궁주와 불공을 드리니 그 해에 왕자 한산후(漢山候)가 탄생하였다고 전해 온다.[2]

계산기정의 혜음석불

용미리석불입상(龍尾里石佛立像) 또는 ‘미륵불(彌勒佛)’, ‘혜음석불’, ‘쌍불입상’이라고도 불린다. 사행 길의 명소였던 관계로 많은 사신들이 직접 유람하거나 시문을 남겼다. 장지산 중턱(용암사 내)에 나란히 자리하고 있는 혜음석불은 멀리서도 잘 보여 의주대로를 오가는 이들의 이정표 역할도 했다. 1803년(순조3) 동지사 서장관의 막료로 연행에 참여했던 이해응(李海應,1775∼1825)의 연행록인 ‘계산기정’에 ‘혜음석불’의 위용을 묘사하는 시가 있다.[3]

曇雲如浪護山頭
물결같은 흐린 구름 산 머리를 지키는데

石佛分身幷兩肩
돌부처 분신하여 두어깨를 나란히하고 있다.

萬劫風磨猶卓立
만겁을 바람에 갈리면서도 그대로 우뚝서서

懸應太始上干天
멀리 태초와 호응하여 위로 하늘을 지른다.

칠층석탑과 동자상

구전에 의하면 故 이승만 前 대통령 모친께서 용암사 마애석불 앞에서 득남 발원기도를 하여 이승만 前 대통령을 낳게 되었다고 한다.

1954년 이승만 前 대통령이 대통령 재임시 용암사를 방문하고 참배하며 남북통일과 후손 잇기 기원 기념으로 동자상과 7층석탑을 세웠다. 동자상은 마애불, 왼쪽 미륵불상 오른쪽 어깨 옆에, 7층석탑은 동자상 뒤편에 세워져 있었다.

이승만 前 대통령이 4.19로 하야하면서 재야관련 단체들이 문화재를 훼손했다고 비판하자 1987년 철거하여 종무소 우측으로 옮겼다고 한다. 2009년에 현 주지 태공 스님이 일반인들의 관람을 위해 삼성각 옆으로 다시 옮겨 놓았다.[4]

카테고리트리

관련 정보

VR 사진

용미리석불항공.JPG
파주시VR 보기


주변 명소



더보기



자료 출처


  1. 위키백과사전
  2. 파주시 문화관광 역사유적
  3. 중부일보 2017.4.30. 조선후기(12) 의주대로와 연행노정
  4. 현대불교신문, http://www.hyunbu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78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