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번째 줄:
20번째 줄:
지금의 심학산은 조선 숙종때 궁궐에서 기르던 학 두마리가 이 산으로 도망나와 있다가 찾았다고 해서 심학산(尋鶴山)이라는 불리게 되었다.
지금의 심학산은 조선 숙종때 궁궐에서 기르던 학 두마리가 이 산으로 도망나와 있다가 찾았다고 해서 심학산(尋鶴山)이라는 불리게 되었다.
−
조선 영조 이전에는 거북이 등을 닮았다하여 구봉(龜峰)산이라고 불렀다. 율곡 이이와 우계 성혼과 교류하던 송익필이 20대부터 지금의 심학산인 구봉산 기슭에서 후진을 양성하면서 구봉이 호가 됐다.
+
조선 영조 이전에는 거북이 등을 닮았다하여 구봉(龜峰)산이라고 불렀다. 율곡 이이와 우계 성혼과 교류하던 송익필이 20대부터 지금의 심학산인 구봉산 기슭에서 후진을 양성하면서 구봉이라는 호를 갖게 됐다.
==주요 시설==
==주요 시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