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지역내 국가 및 지방과 소하천 현황이다.
+
지역내 국가하천과 지방하천,소하천 현황이다.
 +
[[File:802DSC01232임진강 cc.png|400px|섬네일|임진나루 앞 임진강, 파주위키]]
 +
 
 +
==개요==
 +
하천은 국가. 지방, 소하천으로 구분되고 국가하천은 환경부장관이, 지방하천은 광역 이상의 단체장이 명칭과 구간을 지정한다. 소하천은 하천법의 적용을 받지 않는 하천으로 재해예방과 환경개선을 위해 소하천정비법에 따라 관리한다. 소하천은 통상 하폭 2m과 길이 500m이상의 하천을 말한다.
  
 
==관리 유형별==
 
==관리 유형별==
21번째 줄: 25번째 줄:
 
| style="text-align:center;" | 9.2
 
| style="text-align:center;" | 9.2
 
|-
 
|-
| 임진강
+
| [[임진강|임진강]]
 
| 적성면 어유지
 
| 적성면 어유지
 
| 탄현면 성동리
 
| 탄현면 성동리
 
| style="text-align:center;" | 62.4
 
| style="text-align:center;" | 62.4
 
|-
 
|-
| 공릉천
+
| [[공릉천|공릉천]]
 
| 조리읍 장곡리
 
| 조리읍 장곡리
 
| 송촌동
 
| 송촌동
574번째 줄: 578번째 줄:
 
| style="text-align:center;" | 600
 
| style="text-align:center;" | 600
 
|}
 
|}
 +
 +
==과거 하천명==
 +
===교하===
 +
임진강이 한강과 합해지는 곳을 부르던 명칭이자 고을 명칭이다. 교하현은 본래 고구려의 어을매곶(於乙買串)으로써
 +
신라 경덕왕 때 교하(交河)로 고쳐졌다. 이곳은 한강과 임진강의 두 물이 합해지는 곳이므로 물이 어울린다는 뜻에서 ‘
 +
어을매(매=물)’라 하였고, 그에 따라 고을 이름도 붙여진 것이다. ‘교하’의 두 하천을 공릉천과 한강으로 보기도 한다.
 +
 +
===낙하===
 +
조선시대 경기도 파주지방에서 부르던 명칭의 하나이다.낙하라는 이름은 중국 낙양의 낙수(洛水)를 모방한 이름으
 +
로 보이며『신증동국여지승람』(파주)에는 임진도(臨津渡)의 하류를 낙하도(渡)라 하였다.
 +
 +
===탄포천 炭浦川===
 +
월롱면 덕은리 월롱산에서 발원하여 탄현면 오금리의 벌판(염습지)을 지나 임진강으로 유입된다. 현재는 공식적으로 만우천이라고하며  염습지는 바닷물이 들어 오는 곳을 말한다.
 +
 +
===방천===
 +
교하와 탄현지역의 공릉천 하류지역을 방천(防川)이라고 불렀다.
 +
 +
===배내 梨川===
 +
법원읍 동문리의 광평산과 사방산 사이에서 발원하여 구릉지 사이로 흐르다가 문산읍 문산리 에서 문산천으로 유입된다. 한자로는 이천으로 표기한다.
 +
 +
===법원천 法院川===
 +
법원읍 갈곡리 노고산에서 발원하여 서쪽으로 흘러 법원리와 가야리를 거쳐 남쪽으로 꺾여 파 주읍 연풍리에서 연풍천으로 합류한다.
 +
 +
===연풍천 延豊川===
 +
법원읍 삼방리의 자웅산 외비고개에서 발원하여 좁은 계곡을 흐르다가 연풍저수지를 이루고 파주읍 연풍리·파주리·부곡리 · 백석리 등을 지나면서 넓은 충적지 위를 흘러 봉암리에서 문 산천으로 흘러든다
 +
 +
===늘노천 訥老川===
 +
법원읍 오현리의 노고산 스르레미에서 발원하여 적성면과 파평면 덕천리 금파리를 지나 임진 강으로 유입되며 길이는 21㎞에 달한다. 거의 대부분의 물이 말라 있어 마른개울이라고도 한다.
 +
 +
===구연강===
 +
조선시대에 경기도 적성지방(지금의 파주, 적성일대)에서 부르던 명칭의 하나이다.『신증동국여지승람』(적성에 “구연강은 현의 동쪽 9리 지점에 있다”라고 하였다. 『대동여지도』에는 구미연(仇尾淵)으로 나온다. 구연강이나 구미연의 유래는 확실하지 않다.
 +
 +
===객현천 客峴川===
 +
적성면 객현리의 감악산 서북사면에서 발원하여 율포리에서 임진강으로 유입된다. 유역 전역에 걸쳐 널은 들판이 있다.
 +
 +
===어유지천 漁遊池川===
 +
연천군 전곡읍 간파리에서 발원하여 북쪽으로 흐르다가 적성면 적암리를 지나면서 서북쪽으 로 방향을 바꿔 어유지리에서 임진강으로 유입된다.
 +
 +
===멸왜천 滅倭川===
 +
조선시대 경기도 파주시 파평면 일대에서 부르던 임진강 명칭의 하나이다. 임진왜란 당시 우리 군사들이 임진강에 방어선을 폈으나 왜적의 계략에 빠져서 크게 패하였으므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현지에서는 방언으로 ‘메내깔’이라 부른다고도 한다.
 +
 +
===술탄 戌灘===
 +
조선시대에 경기도 적성지방에서 임진강을 부르던 현지 명칭의 하나이다. 현지에서는 ‘개여울’이라고도 하는데 이곳의 강물이 얕아서 개(戌]도 건널 수 있는 여울이라는 뜻이며,『대동여지도』등 여러 문헌에 나오는 이름이다.
 +
 +
===신지강 神智江===
 +
조선시대 적성지방에서 율포리 앞 임진강을 부르던 명칭의 하나이다. 『대동여지도』에는 ‘신지강(神知江)’으로 나온다.
 +
 +
===칠중하 七重河===
 +
삼국시대에 경기도 적성지방에서 부르던 명칭의 하나이다. 이곳 강의 물굽이가 심하여 ‘갈 지(之)’ 자를 이룬 곳이 많
 +
으므로 중국 사람들이 표로하, 표하, 호로하 등으로 불렀고, 우리나라에서도 그 뜻을 따라 ‘칠중하’라 하였다. 삼국시대에 임진강 남쪽의 적성현을 고구려에서 칠중현(縣) 또는 칠중성(城)이라한 것도 이 강에서 비롯된 이름이다.
 +
 +
===호로하 瓠瀘河===
 +
삼국시대에 당나라 사람들이 부르던 명칭의 하나이다. 표하(瓢河), 호로하(瓠瀘河), 포 로탄(匏瀘灘) 등 여러 가지로 나오는데 그 중 호로하는『삼국사기』에 “일행이 호로하에 왔을 때 고구려 군사들이 뒤쫓아 와서”라고 기록되어 있다.
 +
호로하, 표하, 포로탄 등의 이름은 이 강의 물굽이가 심하여‘갈지(之)’자 형상을 이룬 곳이 많아 비롯되었다.
  
 
==관련 정보==
 
==관련 정보==
584번째 줄: 642번째 줄:
 
File:pr-jekseung.JPG|법원,파평,적성
 
File:pr-jekseung.JPG|법원,파평,적성
 
File:pr-joriwollong.JPG|월롱,조리,광탄
 
File:pr-joriwollong.JPG|월롱,조리,광탄
File:pr-munsan.JPG|문산,파주읍,월롱,파평,장단
+
File:pr-munsan.JPG|문산,파주읍,법원,월롱,파평,장단
 
File:pr-tanhyen.JPG|장단,군내
 
File:pr-tanhyen.JPG|장단,군내
 
File:pr-장단군내.JPG|진서
 
File:pr-장단군내.JPG|진서
603번째 줄: 661번째 줄:
 
[[분류:자연생태]]
 
[[분류:자연생태]]
  
{{노출틀|파주 하천현황 | 하천, 개울, 임진강, 공릉천 | 파주 하천현황}}
+
{{노출틀|파주 하천현황 | 하천, 하천현황, 하천이름, 개울, 임진강, 공릉천 | 파주 하천현황}}
 +
 
 +
*과거 하천명은 정해옥의 하천지명 유래이야기 16호에서 옮겼다.

2024년 5월 12일 (일) 20:17 기준 최신판

지역내 국가하천과 지방하천,소하천 현황이다.

임진나루 앞 임진강, 파주위키

개요

하천은 국가. 지방, 소하천으로 구분되고 국가하천은 환경부장관이, 지방하천은 광역 이상의 단체장이 명칭과 구간을 지정한다. 소하천은 하천법의 적용을 받지 않는 하천으로 재해예방과 환경개선을 위해 소하천정비법에 따라 관리한다. 소하천은 통상 하폭 2m과 길이 500m이상의 하천을 말한다.

관리 유형별

행정기관별 관리 현황을 구분했다. [1]

국가 하천

하천명 시작점 종점 총연장(km)
소계 4개소 103.7
한강 고양시 경계 탄현면 성동리 9.2
임진강 적성면 어유지 탄현면 성동리 62.4
공릉천 조리읍 장곡리 송촌동 20.5
문산천 월롱, 광탄 경계 문산읍 당동리 11.6

지방 하천

하천명 시 점 종 점 총연장(m)
소 계 30개소 181.28
장월평천 산남동 산남동 0.7
사천 군내면 정동리 임진강 18.5
설마천 적성면 설마리 적성면 두지리 9.59
눌노천 법원읍 오현리 파평면 금파리 15.1
답곡천 적성면 답곡리 파평면 금파리 4.5
두포천 법원읍 금곡리 파평면 두포리 7.05
운천천 문산읍 운천리 문산읍 사목리 4.31
갈곡천 법원읍 갈곡리 파주읍 봉암리 15.55
동문천 법원읍 동문리 문산읍 문산리 9.3
만우천 월롱면 덕은리 탄현면 만우리 9.23
간파천 적성면 적암리 적성면 율포리 6.66
장현천 적성면 장현리 적성면 객현리 4.23
가월천 적성면 가월리 적성면 두지리 3.63
퇴골천 적성면 마지리 적성면 두지리 0.7
고산천 광탄면 용미리 금릉동 10.5
장진천 조리읍 대원리 상지석동 1
소리천 야당동 교하동 4.3
금촌천 야동동 교하동 3.9
삽교천 월롱면 덕은리 야동동 2.8
사포교천 검산동 하지석동 2.5
오금천 탄현면 오금리 탄현면 오금리 2.4
소위지천 탄현면 갈현리 탄현면 갈현리 3.75
대위지천 맥금동 탄현면 갈현리 3
청용두천 다율동 탄현면 갈현리 5.1
문산천 광탄면 기산리 광탄면 신산리 13.53
보광천 광탄면 영장리 광탄면 영장리 2.9
비암천 광탄면 발랑리 광탄면 방축리 4.86
분수천 광탄면 분수리 광탄면 신산리 6.5
향양천 파주읍 향양리 파주읍 향양리 1.87
삼방천 법원읍 삼방리 파주읍 연풍리 3.32

소하천

하천명 시 점 종 점 총연장(m)
소 계 72개소 116,770
팔봉천 조리읍 봉일천리 조리읍 봉일천리 1,725
장산천 조리읍 장곡리 조리읍 장곡리 1,375
찬우물밑천 검산동 검산동 1,050
사포교천 검산동 검산동 835
달구니천 광탄면 용미리 광탄면 용미리 1,480
진지동천 광탄면 용미리 광탄면 용미리 1,142
망굴천 조리읍 등원리 조리읍 오산리 2,470
문발천 동패동 문발동 1,645
방골천 동패동 동패동 1,400
큰말천 탄현면 성동리 탄현면 성동리 1,800
설문천 상지석동 상지석동 2,100
노패개울천A 법원읍 오현리 법원읍 웅담리 1,450
노패개울천B 법원읍 웅담리 법원읍 웅담리 500
밥제천 파평면 덕천리 적성면 식현리 3,450
어의동천 파평면 덕천리 파평면 덕천리 450
객식천 파평면 눌노리 파평면 눌노리 950
화산천 파평면 금파리 파평면 금파리 970
산신천 파평면 금파리 파평면 금파리 1,380
염안천 적성면 식현리 적성면 식현리 850
적암천 적성면 적암리 적성면 적암리 850
솔개천 적성면 장현리 적성면 어유지리 1,530
산득천 적성면 장현리 적성면 장현리 1,241
약가바위천 적성면 적암리 적성면 적암리 416
대장골천 적성면 어유지리 적성면 어유지리 1,242
봉천 적성면 어유지리 적성면 어유지리 430
웅천 적성면 어유지리 적성면 어유지리 517
개목동천 법원읍 금곡리 법원읍 금곡리 1,175
윗불기천 법원읍 금곡리 법원읍 금곡리 1,500
금곡천 법원읍 금곡리 법원읍 금곡리 645
바깥개목천 법원읍 금곡리 법원읍 금곡리 1,030
소갈미천 적성면 마지리 적성면 마지리 1,290
관동천 적성면 구읍리 적성면 구읍리 1,590
건말천 파평면 율곡리 파평면 율곡리 2,050
배운리천 적성면 객현리 적성면 객현리 1,875
선고개천 적성면 객현리 적성면 객현리 1,525
기산천 광탄면 기산리 광탄면 기산리 837
송라천 광탄면 마장리 광탄면 마장리 800
아가메천 월롱면 능산리 월롱면 능산리 835
능산천 월롱면 능산리 월롱면 능산리 2,200
학동천 파주읍 봉서리 파주읍 봉암리 1,675
방축천 파주읍 봉암리 파주읍 봉암리 1,550
새말천 파주읍 봉서리 파주읍 봉서리 1,825
오산동천 광탄면 발랑리 광탄면 발랑리 1,480
큰골천 광탄면 발랑리 광탄면 발랑리 900
토란동천 광탄면 발랑리 광탄면 발랑리 879
내동천 광탄면 분수리 광탄면 분수리 2,676
외화산천 광탄면 신산리 광탄면 오산리 1,750
초리골천 법원읍 법원리 법원읍 법원리 2,850
상평동천 법원읍 갈곡리 법원읍 갈곡리 1,350
호주울천 법원읍 가야리 법원읍 가야리 2,050
웃가말천 파주읍 백석리 파주읍 부곡리 2,400
부곡천 파주읍 백석리 파주읍 부곡리 925
동막동천 법원읍 동문리 법원읍 동문리 1,350
향양동천 파주읍 향양리 파주읍 향양리 550
경미머리천 문산읍 선유리 파평면 율곡리 1,150
지내울천 문산읍 이천리 문산읍 이천리 3,115
새능천 문산읍 선유리 문산읍 선유리 1,725
전흥천 탄현면 축현리 탄현면 축현리 2,414
무덕천 탄현면 금승리 탄현면 금승리 2,030
덕수천 탄현면 문지리 탄현면 축현리 2,400
금산천 탄현면 축현리 탄현면 금산리 1,926
쇠파리천 탄현면 금승리 탄현면 금승리 975
보맥이천 문산읍 운천리 문산읍 운천리 2,525
대명골천 문산읍 내포리 문산읍 내포리 1,490
맨박골천 문산읍 장산리 문산읍 장산리 1,720
가래울천 문산읍 내포리 문산읍 내포리 1,200
도라산천 군내면 동장리 장단면 점원리 5,500
어룡천 군내면 조산리 군내면 조산리 2,500
수내천 군내면 읍내리 군내면 정자리 5,000
초리천 진동면 하포리 진동면 서곡리 2,270
용산천 진동면 용산리 진동면 초리 3,420
내동천 군내면 금릉리 군내면 금릉리 600

과거 하천명

교하

임진강이 한강과 합해지는 곳을 부르던 명칭이자 고을 명칭이다. 교하현은 본래 고구려의 어을매곶(於乙買串)으로써 신라 경덕왕 때 교하(交河)로 고쳐졌다. 이곳은 한강과 임진강의 두 물이 합해지는 곳이므로 물이 어울린다는 뜻에서 ‘ 어을매(매=물)’라 하였고, 그에 따라 고을 이름도 붙여진 것이다. ‘교하’의 두 하천을 공릉천과 한강으로 보기도 한다.

낙하

조선시대 경기도 파주지방에서 부르던 명칭의 하나이다.낙하라는 이름은 중국 낙양의 낙수(洛水)를 모방한 이름으 로 보이며『신증동국여지승람』(파주)에는 임진도(臨津渡)의 하류를 낙하도(渡)라 하였다.

탄포천 炭浦川

월롱면 덕은리 월롱산에서 발원하여 탄현면 오금리의 벌판(염습지)을 지나 임진강으로 유입된다. 현재는 공식적으로 만우천이라고하며 염습지는 바닷물이 들어 오는 곳을 말한다.

방천

교하와 탄현지역의 공릉천 하류지역을 방천(防川)이라고 불렀다.

배내 梨川

법원읍 동문리의 광평산과 사방산 사이에서 발원하여 구릉지 사이로 흐르다가 문산읍 문산리 에서 문산천으로 유입된다. 한자로는 이천으로 표기한다.

법원천 法院川

법원읍 갈곡리 노고산에서 발원하여 서쪽으로 흘러 법원리와 가야리를 거쳐 남쪽으로 꺾여 파 주읍 연풍리에서 연풍천으로 합류한다.

연풍천 延豊川

법원읍 삼방리의 자웅산 외비고개에서 발원하여 좁은 계곡을 흐르다가 연풍저수지를 이루고 파주읍 연풍리·파주리·부곡리 · 백석리 등을 지나면서 넓은 충적지 위를 흘러 봉암리에서 문 산천으로 흘러든다

늘노천 訥老川

법원읍 오현리의 노고산 스르레미에서 발원하여 적성면과 파평면 덕천리 금파리를 지나 임진 강으로 유입되며 길이는 21㎞에 달한다. 거의 대부분의 물이 말라 있어 마른개울이라고도 한다.

구연강

조선시대에 경기도 적성지방(지금의 파주, 적성일대)에서 부르던 명칭의 하나이다.『신증동국여지승람』(적성에 “구연강은 현의 동쪽 9리 지점에 있다”라고 하였다. 『대동여지도』에는 구미연(仇尾淵)으로 나온다. 구연강이나 구미연의 유래는 확실하지 않다.

객현천 客峴川

적성면 객현리의 감악산 서북사면에서 발원하여 율포리에서 임진강으로 유입된다. 유역 전역에 걸쳐 널은 들판이 있다.

어유지천 漁遊池川

연천군 전곡읍 간파리에서 발원하여 북쪽으로 흐르다가 적성면 적암리를 지나면서 서북쪽으 로 방향을 바꿔 어유지리에서 임진강으로 유입된다.

멸왜천 滅倭川

조선시대 경기도 파주시 파평면 일대에서 부르던 임진강 명칭의 하나이다. 임진왜란 당시 우리 군사들이 임진강에 방어선을 폈으나 왜적의 계략에 빠져서 크게 패하였으므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현지에서는 방언으로 ‘메내깔’이라 부른다고도 한다.

술탄 戌灘

조선시대에 경기도 적성지방에서 임진강을 부르던 현지 명칭의 하나이다. 현지에서는 ‘개여울’이라고도 하는데 이곳의 강물이 얕아서 개(戌]도 건널 수 있는 여울이라는 뜻이며,『대동여지도』등 여러 문헌에 나오는 이름이다.

신지강 神智江

조선시대 적성지방에서 율포리 앞 임진강을 부르던 명칭의 하나이다. 『대동여지도』에는 ‘신지강(神知江)’으로 나온다.

칠중하 七重河

삼국시대에 경기도 적성지방에서 부르던 명칭의 하나이다. 이곳 강의 물굽이가 심하여 ‘갈 지(之)’ 자를 이룬 곳이 많 으므로 중국 사람들이 표로하, 표하, 호로하 등으로 불렀고, 우리나라에서도 그 뜻을 따라 ‘칠중하’라 하였다. 삼국시대에 임진강 남쪽의 적성현을 고구려에서 칠중현(縣) 또는 칠중성(城)이라한 것도 이 강에서 비롯된 이름이다.

호로하 瓠瀘河

삼국시대에 당나라 사람들이 부르던 명칭의 하나이다. 표하(瓢河), 호로하(瓠瀘河), 포 로탄(匏瀘灘) 등 여러 가지로 나오는데 그 중 호로하는『삼국사기』에 “일행이 호로하에 왔을 때 고구려 군사들이 뒤쫓아 와서”라고 기록되어 있다. 호로하, 표하, 포로탄 등의 이름은 이 강의 물굽이가 심하여‘갈지(之)’자 형상을 이룬 곳이 많아 비롯되었다.

관련 정보

링크 모음

지역별 하천지도

가볼만한곳



더보기



자료 출처


  • 과거 하천명은 정해옥의 하천지명 유래이야기 16호에서 옮겼다.
  1. 파주시 홈페이지 2024.3.5.
  2. 2006년 경기도 하천과 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