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파주시 월롱면 옥돌내길 123에 위치한 사적 제148호로 지정된 문화재이다.

사진 문화재청

개요

문산천 서쪽으로 이어지는 해발 약 82m의 야산에 위치하며, 선사시대의 집터와 고인돌 무덤이 함께 있는 유적으로 1966년에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이 유적은 "옥석리 유적"으로도 알려져 있다.--paki 2024년 8월 22일 (목) 15:26 (KST)

유물 유적

고인돌 무덤

덕은리 유적에는 총 20여 기의 고인돌 무덤이 있다. 이 고인돌 무덤들은 강화 부근리 고인돌이나 인근의 교하리 유적에 있는 탁자식(북방식) 고인돌과 비슷하며, 크기는 비교적 작은 편이다. 언덕 정상부 근처에 가장 큰 고인돌이 위치하며, 그 주변에 10여 기의 고인돌이 분포해 있다. 1963년과 1965년에 발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발굴 당시 무너져 있던 고인돌들은 발굴 후 현재의 모습으로 복원되었다.

규모가 가장 큰 고인돌의 덮개돌 크기는 길이 330㎝, 너비 190㎝, 두께 40㎝이다. 고인돌 발굴 과정에서 간돌도끼, 숫돌 등의 유물들이 출토됐다.

움집터

고인돌 무덤 아래에서는 선사시대의 움집터가 발견되었다. 이 움집은 길이 15.7m, 너비 3.7m로, 동서로 길게 만들어졌으며, 깊이는 40~90㎝이다. 집터 바닥에는 진흙이 깔려 있었으며, 벽을 따라 작은 기둥 구멍이 있었다. 집터 안에는 동쪽에 두 개의 화덕이 마련되어 있었으나, 바닥을 오목하게 파낸 형태로 특별한 시설은 없었다.

집터 벽면에는 붉게 탄 자국이 남아 있으며, 바닥에서 많은 재와 숯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흔적을 통해 집이 불에 타버린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같은 긴 네모꼴의 집터는 당시 다른 지역에서는 보기 드물며, 중부지방에서 일부 발견된 바 있다. 예를 들어 서울 역삼동 유적과 파주 교하리 유적에서도 유사한 집터가 발견된 적이 있다.

출토 유물

집터에서 출토된 유물로는 구멍무늬토기, 간돌검, 돌활촉, 돌가락바퀴, 돌도끼, 갈돌 등 다양한 석기류가 있다. 이들 석기의 원재료인 돌감들은 주로 집터의 동쪽에서 나왔고, 완성된 석기들은 대부분 서쪽에서 발견되었다.

집터에서 발견된 나무 숯을 이용해 방사성탄소 연대측정을 실시한 결과, 2590±105BP의 연대가 나왔다. 이를 통해 집터가 기원전 7세기 전후에 형성된 유적임을 알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집터에서 출토된 마제석검의 연대 역시 밝히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되었다. 층위 관계에 따라 집터가 그 위에 있는 고인돌보다 먼저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고인돌 무덤의 연대는 기원전 7세기 이후임을 추정할 수 있다.

관리 운영

학술대회 개최

파주시는 덕은리 지석묘군의 학술적·역사적 가치를 제고하고 향후 체계적인 조사·정비·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2024.8.14일 파주시민회관에서 학술대회를 개최했다.

학술대회는 김경일 파주시장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송만영 숭실대 교수가 ‘파주 덕은리 주거지와 지석묘군’의 학술(사)적 의미와 가치‘를 주제로 기조강연이 있었다.

주제발표에서는 ▲파주지역 일대 지석묘의 특징과 축조 배경(강동석 동국대학교 교수) ▲파주 덕은리 주거지와 지석묘군의 구조와 특징(이형원 한신대학교 교수) ▲파주 덕은리 주거지와 지석묘군의 현황과 종합정비계획 방향(김진환 한양문화재연구원 부장) ▲파주 덕은리 주거지와 지석묘군의 보존과 활용 방안(류호철 안양대학교 교수)을 발표했다.[1]--paki 2024년 8월 29일 (목) 22:42 (KST)

관련 정보

링크 모음

가볼만한곳


더보기


자료 출처


  • 경기역문화유산원-문화유산편
  1. 파주시 보도자료, 2024.8.12일, 문화예술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