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곡리 고려벽화묘

Pajuwiki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6월 19일 (월) 16:51 판 (새 문서: 파주시 진동면 서곡리 산112에 있는 고려시대의 벽화 묘로 2001.12.21일 파주시의 향토문화유산 제16호로 지정됐다. File:410722권준묘전경.png|4...)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파주시 진동면 서곡리 산112에 있는 고려시대의 벽화 묘로 2001.12.21일 파주시의 향토문화유산 제16호로 지정됐다.

1991년 전경,사진 문화재관리국

개요

고려말부터 청주 한씨 종중에서 수호해 오던 묘지로 도굴 신고되어 1991년 발굴 조사를 실시하면서 내부에 벽화가 그려진 것을 발견하게 됐다.

유적 상태

묘지평면및측면도

이 묘역에는 내부 석곽의 동·서·북 3벽 내면과 문비석 내면에 각각 인물상이 그려져 있고 천장석 중앙에는 성진도(星辰圖)가 그려져 있다. 벽화는 동·서벽 내면에는 입구 가까이에서 북벽 쪽을 향하여 각각 26cm의 간격을 두고 5명의 인물상을 일렬로 그렸다. 맨 앞쪽 북벽 가까이의 동·서벽면의 인물상은 정좌상이고 나머지 인물상은 모두 입상이다. 북벽면과 문비석 내면 중앙에도 각각1명의 인물 정좌상이 있고 천장의 성진도는 가로로 놓은 천장석 3매중 중앙에 놓인 천장석 내면에 그려져 있다.

벽화는 돌 벽면에 음각선으로 인물상의 윤곽을 잡고 그 위에 묵선을 그어 그렸다. 얼굴의 세부와 손에 쥔 홀(笏), 넓은 소매의 주름등은 잘 다듬은 돌 벽면에 직접 묵선으로 그렸다. 머리에 쓴 책(책)과 흡사한 관모(冠帽)와 코, 입술, 볼등과 긴 옷고름, 허리에 맨 넓은 띠 등은 먹선으로 밑그림을 그린 다음 붉은 색으로 채색했다. 그러나 벽화는 침수 때문에 묵선, 채색 등이 거의 씻겨져 대부분 분명하지 않고, 북벽의 인물 정좌상과 동·서 벽면의 입구 가까이에 그린 인물입상 및 천장의 성진도만 온전히 남아 있다.

분묘권 소송

당시 문화재관리국에 민통선 진동면 서곡리에서 도굴된 분묘가 발견되었다는 제보가 접수되자 1991년 발굴조사를 실시했다. 이 묘지는 청주한씨 문열공파가 6백년간 관리했던 문열공 한상질의 묘와 그의 부장묘이다.

발굴조사를 해보니 청주한씨가 그동안 제사를 모셨던 봉분의 주인공은 고려말에 다섯 왕을 모셨던 안동권씨의 권준이었다.

안동권씨 창화공파 종중에서는 청주(淸州) 한씨 문열공파 종중이 관리하는 서곡리 분묘 2기 중 하나가 권준의 묘지라 주장하며 분묘기지권 확인 소송을 청구해 승소했다.

소송 진행

안동권씨 창화공파 종중에서는 2002년2월 청주(淸州) 한씨 문열공파 종중이 관리하는 경기도 파주시 서곡리 임야 분묘 2기를 찾아내 이중 하나가권준의 분묘라 주장하며 2002년 2월 분묘기지권 확인 청구소송을 냈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비석이 있는 분묘 근처와 분묘 안에서 묘지석 조각들을 출토해 복원했고 `공민왕 즉위 다음해 공이 병으로 세상을 떠나자 왕이 상사(喪事)를예에 따라 치르게 하고 시호를 창화(昌和)라 했다'는 내용과 `내가 자효사(慈孝寺)를 고쳐지으니 내 전신(前身)이 창화가 아니겠는가'라는 내용을 확인했다

안동권씨 족보에 권준의 묘가 창화사동(昌和寺洞)에 있다는 기록이 발견됐고 비석이 있던 분묘 안에서 고려풍 벽화도 발견됐다.

서울고법 민사6부(재판장 송진현 부장판사)는 “봉토 방식과 내부 벽화, 묘지석등을 살펴보면 비석이 있는 분묘는 권준의 것임을 알 수 있고 역사적 사실에 비춰봐도 청주 한씨 종중원들이 권준의 제사를 대신 잇다가 1400년 사망한 한상질의 분묘로 오인했을 가능성이 높다”며2004.2. 26일 원고승소 판결했다.

재판부는 “비석에 `문열공 한상질지 묘'라고 음각돼 있지만 이 비석은 한상질 사후 300년이 지난 시점에 제작됐다는 사실은 피고도 인정하므로 결론을 뒤집을 수는 없다”고 덧붙였다.

“두 분묘 모두 한상질 사후 600여년간 모셔온 분묘”라고 주장했다 1심과 2심에서 연달아 패소한 청주 한씨 문열공파 종중은 대법원에 상고했으나 2004.12월 기각되면서 권준의 묘로 확정됐다.

권준의 생애

권준 추정 북방향 벽화, 사진 문화재관리국

권준은 안동권씨 권세가로 20세에 진사시에 급제하고 충선왕의 신임을 받아 27세에 정3픔의 고위 관직을 받았다.충성심이 강한 권준은 충렬, 충선, 충숙, 충혜, 충목의 다섯 왕을 섬기고 정1품 삼중대광의 벼슬까지 올랐다.

권준의 외손녀가 충혜왕 때 화비로 책봉되어 권세와 부귀를 크게 누렸으며 충숙왕이 권준을 총애하여 문성공 안향의 고택을 하사하여 강학처로 사용하게 했고 친인척들이 죄를 지어도 감히 처벌하지 못했다.

1372년 공민왕은 왕권을 강화하고 신변 호위 및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자제위(子弟衛 )를 설치하고 공신과 고위 관직자의 자제를 선발하여 배속시켰다. 이 자제위에 권준의 증손자인 권진(權瑨)도 포함됐고 1374년 공민왕 시해 사건으로 권진은 처형되었고 가문이 멸족됐다.

권준은 슬하에 3남2녀를 두었고 그 중 둘째 아들 권적에게는 권현이라는 아들과 딸 하나가 있었다. 그 딸은 고려의 유명 문신인 한수와 결혼했고 아들 셋을 두었는데 그 중 차남이 한상질이다.

묘지 관리

권준은 1352년에 사망했고 진동면 서곡리에 분묘를 조성했다. 공민왕 시해사건으로 권진의 아버지와 형제를 포함한 가문이 멸족되자 권준의 분묘를 관리할 가족이 없었다. 이때 외증손자인 한상질이 권준의 묘를 관리하게 됐다.

한상질은 청주한씨로 1380년(우왕6년) 에 좌랑으로 문과에 급제하고 공양왕 때는 형조판서를 거쳐, 우부대언, 우상시, 예문관제학 등을 역임했다. 조선의 개국공신 한상경(韓尙敬)이 그의 아우이고, 세조 때 공신 한명회(韓明澮)는 그의 손자이다.

1392년 7월 조선왕조가 건국되자 한상질은 예문관학사로서 주문사(奏聞使)를 자청해 명나라에 가서 ‘조선(朝鮮)’이라는 국호를 승인 받아 온 인물이다.

공민왕 시해 사건으로 한상질의 형제인 한안이 처형 당하고 아버지인 한수는 유배를 당하는 등 동병상련을 겪었으며 권준이 살던 송도의 사원에서 그 학통을 계승하기도 했다.

여러가지 사정으로 청주한씨 문중에서 묘비가 없는 권준의 묘를 관리하게 됐고 한상질의 묘와 외증조부 권준 묘지가 위아래 쌍분형태로 되어 있어 위에 있는 한상질의 묘가 부장묘로 생각했던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 전기까지만 해도 사위가 장인 묘를 관리하는 것은 흔히 있는 일이기도 했다.

도굴과 발굴

1989년 국립중앙박물관에 민통선 안에 묘지가 도굴되었는데 무덤에 벽화가 있다는 제보가 접수됐다. 정확한 위치가 확인되자 1991.4.6일 발굴을 시작했고 묘지 사방 벽면에서 12명의 인물상과 천정에서 별자리를 그린 성신도를 발견했다.

1991.4. 12일 묘 주변의 구조를 조사하다가 무덤 바로 앞의 흙 속에서 묘지석 4조각을 발견했다. 묘지석에는 ‘증시창화권공묘명(贈諡昌和權公墓銘)' 라는 글자가 있었다. 무덤 앞의 비석은 청주한씨 한상질의 묘로 되어 있지만 묘지석에는 권준으로 된 것이다. 권준은 한상질 아버지 한수(1333~1384)의 장인인 권적의 아버지였다.

문화재 지정

파주시는 고려벽화가 발견된 진동면 서곡리 산 112번지상의 권준의 묘를 2001.12.21일 파주시 향토문화재 제16호로 지정했다.

이 묘역 내부 석곽의 동·서·북 3벽 내면과 문비석 내면에 각각 인물상이 그려져 있고 천장석 중앙에는 성진도(星辰圖)가 그려져 있다.

내부벽에 그려진 12지상의 인물상은 고려시대 귀족들의 의복제도를 알 수 있는 중요한 사료로 알려졌다.

관련 정보

링크 모음

사진 모음


주변 명소



더보기



자료 출처